전주=에너지경제신문 장정현 기자 전북 전주시는 지난 9일과 10일 내린 집중호우 때 전주시 재난안전대책본부를 통해 하천 수위 측정치와 영상장치를 분석한 결과, 수목 제거와 퇴적토 준설의 강도에 따라 하천 수위가 차등을 보였다고 밝혔다.
'하천의 주인은 물이다'는 목표로 시작한 삼천·전주천 내 지장 수목 제거와 퇴적토 준설이 자연재해 예방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장 수목 제거와 퇴적토 준설 여부에 따라 집중호우 때 하천 수위가 차이를 보였고, 예년과 같은 집중호우와 비교해도 현격한 격차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가장 비가 많이 쏟아졌던 지난 9일 오후 8시부터 이날 오전 4시까지의 수위관측소별 실시간 수위 변동 자료를 보면, 위험 수위가 한 차례도 넘지 않았다.
실제로 많은 비가 쏟아져 호우경보가 발효됐던 10일 오전 3시의 경우 전주천의 미산교 수위는 1.59m로 관심(1.8m) 수위를 넘지 못했고, 서천교와 은석교의 수위는 각각 2.52m와 2.18m로 주위단계(서천교=3.5m, 은석교=2.7m)에 도달하지 않았다.
같은 시간 삼천의 경우도 서곡교 1.74m와 세내교 1.51m, 신평교 1.42m 등 주요 지점에서 각각 관심 수위인 2.1m, 3.1m, 2.2m 이하로 수위가 유지됐다. 이는 호우경보가 발표됐던 지난 2020년 8월 8일 미산교의 수위가 3.22m로 주의 단계를 넘어섰던 것과 비교하면 1.63m나 낮게 관측된 것이다.
또한 하천 수위는 지장 수목 제거와 퇴적토 준설 정도에 따라서도 큰 격차를 보였다. 이는 많은 비가 내렸던 시간 때 언더패스가 차등해서 잠기는 상황으로 확인됐다.
구체적으로 지난 9일 오후 9시 기준으로 비교적 활발하게 하천 준설이 이뤄진 삼천 언더패스의 경우 모두 차량 통행이 가능했지만, 같은 시간대 전주천 언더패스(진북교)는 물에 잠겼다. 이는 삼천 언더패스(효자다리, 마전교)가 전주천의 언더패스보다 먼저 침수되는 예년과 대조된다.
이에 대해 시는 삼천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전주천의 하천 폭과 하천 퇴적토 제거량 차이 등 하천의 물이 흐르는 단면적인 통수단면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에 앞서 시는 도심하천인 전주천과 삼천의 통수단면(하천의 물이 통과하는 면적)을 잠식하거나, 유수 흐름에 지장을 주는 퇴적토와 위험 지장 수목을 대대적으로 정비해 왔다.
대표적으로 시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국비 9억 원을 포함한 총 33억 원을 투입해 전주천과 삼천의 퇴적토와 위험 지장 수목을 제거하는 등 재해예방 하도 정비사업(15만9000㎡)을 추진했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전주천 3개소(쌍다리, 서신보 및 한벽교 인근)와 삼천 3개소(이동교, 서문초 및 중복천 합류점 인근) 등 총 6곳의 퇴적토(4만 3000㎡) 및 위험 지장 수목 제거를 완료했다. 여기에 시는 지난 6월까지 전주천 2개소(금학보, 오목교 인근)와 삼천 3개소(마전교, 홍산교, 전주천 합류점 인근) 등 총 5개소의 위험 지장 수목 및 퇴적토(11만 6000㎡)를 제거함으로써 여름철 집중호우에 대비했다.
시는 홍수기인 오는 10월까지는 기상 상황을 예의 주시하며 하천 CCTV 모니터링, 하천 산책로 출입 통제, 홍수 취약구역 예찰 활동 등 비상 상황반을 가동해 여름철 호우상황 대처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이후에는 재난안전특별교부세 등 국비를 확보해 하천 퇴적토 및 위험 지장 수목 제거 등 통상적인 유지보수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재난과 재해에 대한 대비는 일상적인 것이 아니라 극한 또는 최악의 상황을 대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민 생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과할 정도로 준비할 수밖에 없다"면서 “앞으로도 여름철 집중호우에도 안전한 하천환경을 만들기 위해 치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