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가 온실가스 총 배출량이 원자력과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대비 4.4% 감소했다. 하지만 전기차 보급 등 수송 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소폭 줄어, 2030 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서는 더욱 감축 속도를 올려야 할 것으로 분석된다.
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는 지난해 국가 온실가스 잠정 배출량을 분석한 결과, 전년 대비 4.4% 감소한 6억2420만톤으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든 건 전환(전기·열생산) 부문에서 역할이 컸다. 전환 부문에서 배출량이 전년 대비 7.6%(1650만톤) 감소했다
발전량이 전년 대비 1% 감소했고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무탄소에너지인 원전과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이 각각 4.4테라와트시(TWh)와 3.5TWh씩 증가해 총 7.9TWh 늘어난 덕이다. 지난해 총 발전량이 약 617TWh임을 감안하면 증가분만 전체의 약 1.3%를 차지했다.
산업 부문 배출량은 공정가스저감시설(반도체·디스플레이)의 확대와 석유화학과 시멘트 등 온실가스 다배출 산업의 경기둔화로 인한 생산 감소로 전년대비 3.0% 감소했다. 건물 부문 배출량은 따뜻한 겨울과 도시가스 요금 인상으로 인한 사용량 감소로 전년 대비 7.0% 줄었다.
수송 부문은 주행거리 감소 및 무공해차 보급 확대로 1.0%, 농축수산 부문은 벼 재배면적 감소 등 영향으로 0.1%, 폐기물 부문은 매립량의 지속적인 감소로 1.3% 등 소폭으로 줄었다.
온실가스 배출량은 지난 2022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했다. 2021년에는 코로나19가 잠잠해지면서 경기회복의 영향으로 배출량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다만, 무탄소에너지 확대 등으로 2022년 이후에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계속해서 감소해왔다.
국내총생산(GDP)이 2022년부터 전년 대비 매해 증가했음에도 온실가스 배출량이 감소하는 탈동조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지난해 GDP당 배출량은 지난 199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인 10억원당 312.8톤을 보였다.
전 세계로 보면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은 중국과 인도에서 늘어나면서 증가했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따르면 중국과 인도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각각 4.7%, 7% 증가했다. 반면, 미국은 4.1%, 유럽연합(EU) 9%, 독일 10.1%, 일본 2.5% 감소했다.
올해 모든 유엔 기후변화총회 당사국은 파리협정의 세부이행지침(2018)에 따라 '2006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산정 지침'을 적용한 온실가스 통계를 유엔에 제출해야 한다.
이번에 IPCC 지침을 적용해 산정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은 올해 '2035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수립하는 데 활용된다.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가 이 지침을 적용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재산정한 결과, 우리나라의 배출량은 최초 산정 시점인 1990년부터 2021년까지 모든 연도에서 배출량이 증가한다.
지침을 적용한 가장 최근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7억2140만톤이다. 이는 지침 적용 전 2021년 온실가스 배출량인 6억7660만톤보다 6.6%(4480만톤) 많은 수치다.
그동안 통계에 잡히지 않았던 온실가스를 추가로 줄여야 하는 숙제가 추가된 것이다.
정부는 통계 개편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의 주요 요인인 수소불화탄소(HFCs)에 대해서는 재생 냉매의 사용을 늘리는 등 감축 방안을 마련해 올해 안으로 공개할 예정이다.
지침을 적용하지 않은 잠정치 결과로 계산하면 앞으로 2030 NDC 달성을 위해 2030년까지 총 1억8760만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
올해부터 온실가스 배출량을 해마다 평균 3126만톤을 줄여야 하는 것으로 지난해 줄인 2860만톤보다 감축속도를 높여야 하는 셈이다.
정은해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장은 “우리나라 온실가스 배출량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는 긍정적이지만 심화되고 있는 기후위기를 고려할 때 배출량을 더욱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특히 감축의 속도가 다소 더딘 부문들에 대해서 우리 사회 구성원 모두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요구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