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23일(수)
에너지경제 포토

김다니엘

daniel1115@ekn.kr

김다니엘기자 기사모음




“미래 건설업, ‘공간 서비스 플랫폼’ 업체가 장악한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0.16 14:44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최근 보고서 펴내 지적

ICT 기술 등 접목해 단순 공사-용역 아닌 O2O서비스 플랫폼의 전환 필요

.

▲한 건설업 공사현장 전경. 연합뉴스

건설업이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살아 남기 위해선 개념을 확장해 '공간서비스 플랫폼' 제공 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6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펴낸 보고서를 보면 연구원은 “건설산업을 단순 수주산업으로만 인식한다면 기존의 틀에 갇힐 것이며 이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사업모델 발굴과 비즈니스 전환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일반적으로 건설산업은 주택, 사무실, 병원, 운동장, 도로, 교량 등 사람이 살아가는 공간을 창출하고 제공하는 산업이다. 이를 관리하는 건설산업기본법에서도 건설산업은 건설업과 건설용역업으로 나뉜다. 여기서 건설업은 건설공사를 하는 업으로, 건설용역업은 건설공사와 관련된 용역을 하는 업으로 규정하고 있다.


연구원은 그러나 보고서에서 단순히 용역과 공사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간을 제공하는 모든 행위가 포함될 수 있다고 봤다. 특히 4차 산업혁명기를 맞아 건설산업이 1차원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발전을 위해 도약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공간에 대한 수요는 물리적·기능적 측면에서 사회·경제적 공간으로 확대되고 있다. 공간을 제공하는 건설산업의 개념 또한 공사나 용역에 그치지 않고 사회구성원과 경제주체들을 연계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등 서비스 및 상품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실제 다른 산업들의 경우 '에어비앤비'는 숙박업과 정보통신업의 융합, '배달의 민족'은 요식업과 배달업, '우버'는 택시운송업과 정보통신업의 융합이 이뤄지고 있다. 기존 산업영역들이 플랫폼 사업이라고 하는 새로운 주역들이 장악하고 있다.


특히 개념 확장과 비즈니스 전환이 건설산업의 스마트홈, 스마트도시 등 기존 건설상품에 단순한 정보통신기술의 접목이 아닌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모델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또 “현재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홈이나 스마트도시가 주택과 도시에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다는 개념에 그칠 뿐,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공급 개념은 아니다"라면서 향후 플랫폼 사업으로의 전환에 성공하는 건설업체들이 업계를 장악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도 내놨다.


김우영 건산연 연구위원은 “건설산업을 단순히 용역과 공사를 수행하는 수주산업으로만 인식한다면 전통적인 개념에 갇히게 된다"며 “현재 기술 발전과 더불어 요구되는 공간의 변화에 맞춰 건설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정보 및 업무 디지털화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사업모델 발굴과 비즈니스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