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에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이 48조원에 달하고, 지역별 연체율도 최고 22%로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이 부동산PF 사업장에 대한 사업성 평가 끝에 부실 사업장에 대해 경·공매를 통한 구조조정에 본격 착수하면서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PF 사업 부실은 연착륙 중인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비수도권 부실 정리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으며 '숨겨진 부실'로 알려진 2금융권의 비수도권 토지담보대출(토담대) 잔액도 10조원, 연체율은 15%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27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현재 비수도권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48조3000억원으로 수도권 82조1000억원을 포함한 전체 잔액 130조4000억원의 37%를 차지한다.
비수도권 PF 대출 연체율은 3.86%로, 서울(2.93%)이나 경기(2.77%) 대비 매우 높았다.
비수도권 중 부동산PF 대출잔액이 가장 큰 지역은 △부산(9조8000억원) △대구(8조9000억원) △경남(4조4000억원) △광주(3조9000억원) △충남(3조5000억원) △울산(2조6000억원) △충북(2조3000억원) △경북(2조1000억원) 순이었다.
세종(3000억원), 전북(1조원), 제주(1조3000억원), 전남(1조7000억원), 강원(1조7000억원)은 비교적 잔액이 작았다.
지역별 PF대출 연체율은 세종이 22.03%로 가장 높았고 △제주 8.92% △울산 8.07% △전남 7.4% △경남 5.49% △대구 4.65%도 높은 축에 속했다. 세종의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서울의 7.5배에 달했다.
비수도권의 토담대 잔액은 10조1000억원으로 수도권(14조원)을 포함한 전체 토담대 잔액의 42%를 차지했다. 특히 부산이 2조4000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 충남 1조300억원과 광주 1조원, 경남 7000억원이 뒤를 이었다.
사업 초기 토지를 담보로 대출하는 토담대는 2금융권에서만 취급돼왔다. 사업성으로 대출을 내어주는 브릿지론과 유사성을 갖지만 규제수준이 낮고 정확한 수치도 알려지지 않아 '숨겨진 부실'로 꼽혀졌다.
비수도권 토담대 연체율은 15.33%로 수도권 13.89%보다 1.44%p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지역별 연체율은 전남이 28.06%로 가장 높았고, 제주 27.36%, 경남 26.38%, 대전 23.79%, 강원 19.81% 등이 뒤를 이었다.
금융당국은 관계부처와 협의를 통해 연내 부동산PF 부실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가장 먼저 거론되는 것은 PF 연쇄 부실의 근본 원인으로 직용하고 있는 시행사의 저자본-고차입 구조 개선이다.
시행사에 대해 총사업비 대비 자본투입 비중에 따라 대출 금융기관의 PF 대출 위험가중치를 차별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이 유력하게 거론되는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기자본비율이 특정 기준보다 낮을 시 위험가중치를 높게 보는 식이다.
저축은행들은 2011년 부동산PF 부실로 뱅크런을 겪은 뒤 PF사업장 사업자금의 20% 이상을 자기자본으로 조달해야만 PF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돼 있다.
이 밖에 금융당국은 PF대출 시 사업성평가 강화와 PF 시장참여자에 대한 건전성관리, PF관련 정보관리 체계화 등도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