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긴급성명을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한 가운데 4일 새벽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에서 비상계엄 해제요구 결의안 통과 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촉발한 '계엄 정국'은 '정치 테마주'의 주가 변동성을 키웠다. 정치 테마주는 기업의 본질적 가치와 무관하게 변동성이 커지다 보니 기업들의 자금조달 수단으로 활용되곤 했다.
2021년 당시 윤석열 테마주로 꼽히는 자연과환경과 이재명 테마주로 불리는 에코플라스틱이 대표적이다. 두 종목은 양 후보가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전후로 유상증자를 실시했다. '대통령 테마주' 흐름에 올라탄 소액주주들에게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에 주의가 요구된다.

▲윤석열 대통령.
2021년 11월 16일 윤석열 테마주로 분류되는 자연과환경은 293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공시 다음날 자연과환경의 주가는 23% 빠지면서 주주들은 이번 유상증자의 실망감을 표현했다.
자연과환경의 그 당시 유상증자는 설득력이 부족했다. 회사는 유증을 통해 조달할 자금 중 187억원은 운영자금과 채무 상환에 쓸 예정이었고, 나머지는 PC 관련 시설 자금으로 쓸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자연과환경의 재무구조는 우수했다. 상반기 말 기준으로 부채비율이 61%, 차입금의존도는 17%에 불과했다. 또 영업손실도 전년 55억원에서 1800만원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달리 말하면 유상증자를 하지 않더라도 시설투자는 가능했다.
그럼에도 유상증자를 단행한 까닭은 윤석열 테마주 덕에 주가가 급등했기 때문이다. 환경생태복원사업 등을 영위하는 자연과환경은 도시재생을 강조하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출마를 선언했던 6월 경부터 윤석열 테마주로 묶였다.
이는 주가로 확인 가능하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대선 출마를 공식화했던 6월 말과, 그가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된 시기에 주가는 크게 상승했다. 특히, 출마를 공식화했던 6월 29일에는 3435원까지 오름세를 보였다. 연 저점인 1285원과 비교해 3배 가량 상승한 것이었다.
대선 특수로 오른 주가를 자연과환경은 유상증자로 화답했다. 소액주주들의 투자 실적은 유증의 고려 요소가 아니었다. 그것보다 유증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시점을 조율할 뿐이었다.
주가가 오를 때 유증을 하면 적은 주식을 발행하더라도 많은 자금을 유치할 수 있다. 즉, 대주주들이 현재 지분율을 유지하기 위한 소요 대금이 줄어든다.
이는 비단 '윤석열 테마주'에만 해당하지 않았다. '이재명 테마주'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연출됐다. 자동차 부품 업체인 에코플라스틱은 사외이사인 원혜영 전 의원이 이재명 경기도 지사의 지지모임인 공명 포럼의 상임고문임이 부각되면서 이재명 테마주에 올라탔다.
2021년 초 1970원으로 거래를 시작한 에코플라스틱은 더불어민주당 경선이 시작한 직후인 9월 8일 5440원까지 주가를 높이기도 했다. 그리고 에코플라스틱은 24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했고 다음날 주가는 20%가량 빠졌다.
'대선 테마주'로 오른 기업들은 실제 기업가치보다 주가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정치권 고위 인사로부터 예산 편성 등 각종 이권을 제공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추상적인 관계에 불과하다. 수익성이 높거나 성장 모멘텀이 있는 기업들의 주가도 쉽게 오르지 못하는 상황에서 이 같은 테마주의 가격이 오른다는 것은 사실상 겜블성 '묻지마 투자'에 따른 것일 공산이 크다.
기업 경영진 입장에서도 '바람'이 그치고 나면 언제든 떠날 수 있는 소액주주보다는 기업이 우선이다. 그렇기에 소액주주들의 쌓아올린 주가를 유상증자로 희석을 선택하는 것은 합리적인 선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