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위해 헌법재판관들이 입장하고 있다
4일 헌법재판소가 탄핵을 인용해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하자 주요 외신들은 이를 일제히 기사로 신속하게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지난해 12월 비상계엄을 선포한 윤석열 대통령의 정치적 도박이 국회 탄핵으로 이어진 후 결국 임기 3년도 채우지 못한 채 파면됐다"고 보도했다.
블룸버그는 이어 한국은 대통령 파면 후 60일 이내 선거를 치른다며 “극명하게 분열된 국가를 이끌어갈 차기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보호주의 정책 속에서 리더십 공백을 매워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차기 대통령은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고 경제 모멘텀을 회복시킬 정책을 추진하고 싶어할 것"이라며 “탁월한 지도자는 경제의 안정과 성장을 회복하는 동시에 분열된 정치적 환경 속에서 국가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보여줄 것"이라고 진단했다.
로이터통신도 “헌재가 윤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했다"며 “한국에 수십년 사이 최악의 정치적 위기를 촉발시킨 계엄령 선포와 관련해 국회의 탄핵을 인용했다"고 보도했다.
미 CNN은 “전직 검사 출신 정치인이 신뢰를 잃은 모습"이라며 “수년 전 다른 대통령의 탄핵과 투옥에 대한 역할로 두각을 드러냈지만 이제는 같은 운명을 맞이하게 됐다"고 짚었다.
미 워싱턴포스트(WP)는 “이번 결정으로 윤 대통령의 정치적 경력이 마무리되지만 수개월 동안 한국을 뒤흔들었던 혼란이 종식되기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WP는 이어 “한국은 민주화 이후 거의 모든 대통령이 부패, 뇌물수수, 횡령 또는 권력 남용과 관련된 스캔들에 휘말렸지만 계엄령 선포는 윤 대통령이 처음"이라고 짚었다.
일본과 중국 주요 언론도 윤 대통령의 탄핵이 인용됐다는 소식을 발 빠르게 전했다.
공영방송 NHK는 이날 다른 프로그램 방송 도중 “윤 대통령 탄핵 재판, 즉시 파면" 자막을 내보냈다. 이어 오전 11시 30분 뉴스에서 서울지국 특파원을 연결해 탄핵 심판 결과를 자세히 전했다.
요미우리·아사히·니혼게이자이신문 등 현지 신문들은 미리 기사를 준비해 둔 듯 헌재의 결정 직후 자세한 기사를 내보냈다.
요미우리신문은 “헌법재판소가 파면을 선고했다"며 “차기 대통령 선거가 60일 이내에 이뤄진다"고 보도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헌재의 파면 선고와 거의 동시에 속보를 내보냈고 중국중앙TV(CCTV)도 정규 방송 도중 파면 속보를 자막으로 전했다.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에서는 이날 오전 11시45분 현재 '윤석열 파면, 대통령직 상실'이 검색어 1위에 올랐다. 2위는 '한국 60일 이내 대선'이었다.
웨이보(微博·중국판 엑스)에서도 '윤석열 파면, 대통령직 상실'이 1위에 오른 것을 비롯해 인기 검색어 상위 10위 가운데 4개가 윤 전 대통령과 관련한 단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