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동 CI
우크라이나 재건 테마로 최근 급등세를 보였던 농기계업체 대동의 신용등급 전망이 하향 조정됐다. 대동의 북미 소형트랙터 시장 수요 감소와 차입금 부담 가중으로 인한 재무안정성 저하가 우려되고 있으며, 특히 운전자본 부담이 지속되는 가운데 영업실적 저하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주요 골자다.
11일 한국기업평가는 대동의 신용등급을 'BBB+'를 유지하되, 등급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대동의 주요 재무지표. 출처/한국기업평가
등급 전망 하락의 원인은 재무상태와 실적 악화가 동시에 진행됐기 때문이다. 2024년 9월말 연결 기준 대동의 차입금의존도는 48.6%로 전년말 대비 6.8%p 상승했다. 별도 기준으로 본다면 51.2%에 이른다. 대동의 차입금은 총자산의 절반을 차지한다는 의미다. 차입금의존도는 통상적으로 30%를 내외로 높고 낮음을 판단함을 고려할 때 상당한 수준이다. 부채비율도 274.8%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차입금의존도가 높으면 이자 부담이 자연스레 커질 수밖에 없다. 그간 대동은 실적으로 이를 어느정도 해결해왔다.
하지만 대동은 주력 시장인 북미에서 소형트랙터 수요가 위축되며 2024년 3분기 누적 매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6.3%, 54% 감소한 1조 1033억원과 381억원을 기록했다. 별도 기준으로 본다면 매출은 20%감소했다.
대동의 실적 부진은 미국 시장의 구조적 변화에 기인한다. 대형 농장 위주의 농업 구조로 인해 소형트랙터 수요가 감소 추세에 있으며, 낮은 곡물가격과 높은 금리 수준이 시장 수요 회복을 제약하고 있다.
그 결과 올해는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537억원)도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 한민수 한국기업평가 연구원는 “미국의 1위 업체인 존디어도 소형트랙터 판매를 축소하고 대형트랙터 판매를 확대하는 추세"라며 “소형트랙터는 제품 특성상 농업용으로서의 활용도가 제한적이어서 시장 수요 회복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차입금이 증가하고 실적이 악화된 탓에 종합적인 지표 악화는 불가피했다. 이는 상각 전 영업이익(EBITDA) 대비 순차입금 배수에서 나타난다. 3분기 말 기준 대동은 관련 지표에서 11배로 최근 3년 평균인 5.6배를 크게 상회했다. 이는 현재 차입금 수준은 영업활동을 통해 11년간 현금을 벌어들여야 갚을 수 있다는 의미다.
한 연구원은 “이자비용 중심의 영업외손익 구성, 최근 고금리 지속되어 손실 확대 중"이라면서 “제고된 판매기반 유지하겠으나, 실적 개선 여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어 “향후 회사는 중동 및 중남미 등 신시장 개척을 추진하고 있으나, 주력 시장인 미국의 수요 저하로 당분간 영업수익성은 3~4%대에 그칠 것"이라면서 “특히 북미 시장에서 발생한 운전자본 부담이 차입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