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19일(목)
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패션불황 비껴가는 SPA브랜드, 역대급 실적 예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2.15 14:24

유니클로, 매출 1조원대 재진입 ‘매장 철수→확대’
탑텐·스파오·무탠다드 등 토종 브랜드는 다점포
가성비 선호 수혜…‘실적 난항’ 패션대기업은 울상

서울 송파구 롯데월몰 내 유니클로 매장 전경. 사진=유니클로

▲서울 송파구 롯데월몰 내 유니클로 매장 전경. 사진=유니클로

경기 침체와 어수선한 정국 상황에도 이랜드스파오·유니클로·탑텐·무신사스탠다드 등 패션 SPA(제조·유통 일원화) 브랜드들이 전반적인 패션업계 침체를 뚫고 올해 역대급 실적을 예고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SPA 브랜드의 최고 매출 기대감이 높아지자 패션업계는 SPA 시장 지배력을 높이기 위해 매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어 경쟁이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매출 1조원대 회복 '유니클로'…1조원 클럽 가입 앞둔 '탑텐'

14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유니클로 브랜드를 운영하는 에프알엘코리아의 지난해 9월부터 올해 8월까지 2024 회계연도 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조601억원, 1489억원을 기록하며 전년동기 대비 15.4%, 5.4% 나란히 늘었다.


2019년 반일 불매운동 '노 재팬(NO JAPAN)' 여파로 매출 규모가 이전보다 쪼그라든 상황이지만 5년 만에 1조원대로 재진입하며 완연한 회복세에 들어간 것으로 업계는 평가한다.


노 재팬 이전 1조3000억원대였던 에프알엘코리아 매출은 불매운동이 본격화된 2020회계연도 당시 6298억원까지 급감했으며, 884억원 영업손실마저 거두며 적자 전환했다. 이후 2021년 회계연도로 접어들어 흑자 전환에 성공한 뒤 2023년 회계연도 기준 9000억원대까지 매출 규모가 커지는 등 분위기가 사뭇 달라진 모습이었다.




유니클로는 소극적이던 매장 중심의 오프라인 영업도 적극 강화하고 있다. 수익성 개선을 목적으로 비효율 매장을 정리하면서 2019년 186개였던 유니클로 매장 수는 2022년 127개로 줄었다.


그러나 올해 9월 리뉴얼 개점한 국내 최대 매장 '롯데월드몰'을 포함해 12월 현재 133개까지 늘어나는 등 소비 접점 확대에 집중하고 있다.


유니클로가 불매운동으로 주춤한 사이 국내기업 신성통상의 SPA브랜드 '탑텐'은 1조원 턱밑까지 올라섰다. 2019년 3340억원을 기록한 탑텐 연매출은 지난해 약 9000억원을 기록하며 3배에 육박하는 신장률을 과시했다.


탑텐은 폭발 성장세를 바탕으로 내부적으로 올해 연매출 9700억원을 달성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회사 예측대로 매출 1조원을 기록한다면 토종 SPA브랜드 중 조 단위 매출을 거둔 최초 사례가 된다.


이같은 탑텐의 전망에는 다점포 전략이 뒷받침하고 있다. 자체 온라인몰인 '굿웨어몰'을 보유하고 있으나, 전체 매출에서 오프라인 비중만 90%를 차지할 정도로 매출이 쏠려있는 구조다. 사업 중요도가 높은 만큼 2020년 약 400곳이던 탑텐 매장 수는 현재 730곳으로 크게 늘어났고, 회사도 오프라인 매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짠물소비' 등에 업고 스파오·무탠다드도 성장세

유니클로·탑텐 브랜드보다 실적과 매장 수는 밀리지만= 이랜드월드 스파오와 후발주자인 무신사 스탠다드도 호실적을 자신하고 있다.


올해 개장한 19개 매장을 비롯해 현재 127개의 점포를 운영 중인 스파오는 올해 연매출 예상치로 전년(4800억원)보다 25% 늘린 6000억원을 내다보고 있다.


기존 온라인 중심이던 무신사 스탠다드도 오프라인 매장을 꾸준히 확보해 가고 있다. 지난해 말 5개에 그쳤던 무신사스탠다드 매장 수는 12월 현재 18개로 3배 이상 늘었다. 연말까지 경기 동탄에 추가 출점도 예고했다. 빠른 매장 확대 속도를 보이면서 올해 오프라인에서만 1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패션업계는 가성비를 추구하고 소비를 절제하는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저렴한 값을 앞세운 SPA 브랜드가 수혜를 입은 대표업종으로 꼽고 있다. 반면에 국내 대기업 중심의 5대 레거시 패션 쪽은 실적 부진을 겪고 있고, 이같은 극명한 온도 차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삼성물산 패션부문, 신세계인터내셔날, 한섬 3곳 모두 영업이익이 전년동기 대비 두자릿 수 감소했다. 같은 기간 코오롱FnC도 149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분기 기준 적자 전환했다.


다만, 레거시 패션 가운데 LF만 538억원 영업이익을 거두며 전년 동기보다 272% 크게 늘어나는 이례적 성과를 거뒀지만 본업인 패션사업 외에 금융사업 호조에 힘입은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LF 패션 부문 올해 1~3분기 누적 매출은 1조12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2.8% 줄었기 때문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