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변종철 기자

rofam@ekn.kr

변종철 기자기자 기사모음




국민 10명 중 7명 전기 낭비 ‘심각’ 응답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12.06.20 09:39

전력부족 72%가 인지…절전 실천 가정도 90% 육박

서울·20대 절전의식 가장 부족해
요금인상 절전에 도움 그러나 인상은 부정적

이번 조사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국민들의 절전에 대한 인식현황을 살펴보고, 동참 의향과 적정한 전기요금 등을 예측키 위해 실시됐다. 주요 조사내용은 응답자 기초 정보를 포함해 우리나라 전력사정에 대한 견해, 절전 동참 의향과 실천여부, 전력사용 실태, 전기요금과 절전의 상관관계, 절전대책 인지도 등이다.

조사대상은 전국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인구비례 무작위로 추출했으며, 지역별로는 경기/인천 지역의 응답자(294명)가 가장 많았고, 이어 서울(195명), 부산/경남/울산(166명), 대전/충청(107명). 대구/경북(99명), 전남/광주(70명), 전북, 강원, 제주 순이었다.

성별로는 여자가 517명으로 51.7%의 비율을, 연령별로는 40대 응답자(237명)으로 23.7% 비율을 보이며 가장 많았다. 이어 연령별로 60대(208명), 30대, 50대, 20대 순이었다.

전력부족 인식 절전동참 84.3%
국민의 대다수는 전력부족 상황을 인식, 절전에 동참할 의향을 밝힌 응답자만 해도 84.3%를 차지했다. 국민 72%가 국내 전력사정을 ‘부족하다’고 아는 만큼 절전에 대한 필요성을 충분히 숙지한 것으로 풀이된다.

대구/경북 지역이 92.3%의 높은 동참 의향을 밝혀 전기 절약 의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인천 지역이 79.5%로 다른 지역에 비해 동참 의향이 낮았다. 반면 절전에 동참치 않겠다는 응답의 경우 지역별로는 서울이 16.8%로 가장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23.4%)에서 가장 높아 절전 의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절전을 실천하고 있는가에 대해선 국민의 91.9%가 실천하고 있다고 답해 전기 절약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매일 실천하고 있다’는 응답이 47.5%나 됐다는 점에서 올 여름 희망이 보였다. 매일 실천하고 있다는 응답의 경우 연령별로는 60대 이상(62.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대(28.6%)에서 낮게 나타났다.

국민 70% 전력 낭비 심하다 생각
국민의 70% 이상은 전력사용 실태에 대해서 낭비가 심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전력사용 실태에 대한 질문에 ‘낭비가 심하다(74.5%)’는 응답은 ‘낭비가 없다(11.5%)’와 ‘잘 모르겠다(14.0%)’는 응답보다 3배 가량 많은 것으로 조사돼 전기 사용에 대한 올바른 지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국민들은 가장 효과적인 절전방법으로 ‘에어컨 가동시간을 줄인다(61.7%)’를 꼽았다. 이어 ‘가전제품 사용시간을 줄인다’는 의견과 ‘전등사용 시간을 줄인다’는 의견이 20.3%와 10.7%로 뒤를 이었다.

‘에어컨 가동시간을 줄인다’는 응답의 경우, 지역별로는 서울(70.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전/충청(44.3%)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 절전대책 국민 60% 이상 인지
정부의 절전대책을 알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잘 알고 있다(23.0)’는 의견과 ‘어느 정도 알고 있다
(41.1%)’는 의견이 높게 나타나 절전대책에 대한 홍보가 잘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잘 알고 있다는 응답의 경우 대전/충청(27.7%)에서 가장 높은 득표를, 대구/경북(17.5%)에서 가장 낮은 득표를 기록했다. 또 절전대책을 알게 된 경로를 묻는 질문에선 ‘방송’이라는 응답이 68.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신문(13.2%)’, ‘인터넷(8.6%)' 순으로 집계돼 언론매체에 의한 홍보가 주효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전기요금 인상 절전에 도움
이번 조사에서는 전기요금 인상에 대한 생각도 엿볼 수 있었다.

전기요금 인상과 절전의 상관관계를 묻는 질문에선 ‘관계 있다’란 응답이 54.9%나 돼 요금 인상이 절전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에 뜻이 모였다. ‘관계 있다’는 응답의 경우 부산/경남/울산(65.5%)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경기/인천(40.9%)에서 낮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가 62.5% 관계 있다는 의사를 밝히며 요금 인상과 절전의 상관관계를 가장 많이 지지했다.

또 전기요금 인상시 절전을 하겠냐는 질문엔 ‘절전하겠다’는 의견이 63.0%를 기록해 요금인상으로 인한 절전효과를 기대하게 했다. 하지만 절전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22.4%나 돼 이를 끌어들일 방안도 강구돼야 할 전망이다. ‘절전하겠다’는 응답은 서울(65.7%)이 가장 높았고, 전남/광주(50.8%)가 가장 낮았다.

연령별로는 60대 이상이 75.9%의 높은 지지를 보였으며, 30대가 52.8% 지지로 상대적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전기요금 인상이 절전을 기대케 함에도 불구하고, 요금 인상에는 부정적 답변이 주를 이뤘다. 현재 전기요금이 적정수준이라고 생각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적정하다’는 응답이 49.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싸다’가 27.7%로 뒤를 이었다. 반면 ‘싸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14.1%에 그쳤으며, ‘잘 모르겠다’는 의견도 9.5%나 나와 요금 체계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전달이 중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우리나라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에너지 절약을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야 한다. 특히 올해는 전력예비력이 올 8월 중순께 150만kW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등 전력상황이 좋지 못하다. 정부의 전력수급 대책 강구만큼 국민들의 자발적인 전기 절약도 중요한 상황인 것이다. 이번 조사 결과 정부 정책에 대한 국민의 참여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하계 전력수급의 어려움도 다소 완화될 전망이다. 하지만 끝까지 긴장을 늦춰서도 안될 것이다. 또 응답자의 평균 15%가 잘 모르겠다는 응답을 내놓은 것에 주목, 홍보에도 더욱 적극 임해야 한다. 특히 전기요금 인상과 관련해 전기요금 인상의 필요성 등을 인지토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분석 / 전기요금에 대한 국민의 생각
전기요금, "적정하다 (49%)" 응답

누적적자로 까맣게 타들어가는 한전의 속도 모르는 채 국민들은 현 전기요금 수준이 적정하거나 비싸다고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전기요금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제공과 홍보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한전은 타 공공요금에 비해 낮게 책정된 전기요금으로 인해 심각한 경영위기상태를 맞고 있다.

지난해까지 4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며 현재까지 누적적자는 8조원에 달하고, 하루에 내는 차입금 이자만 60억원이 넘을 정도다. 더군다나 전기요금의 원가 보상률은 지난해 기준으로 87.4%에 그쳐 팔면 팔수록 손해만 보고 있다. 이 때문에 한전은 지경부에 전기요금 인상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고, 지경부와 기재부 역시 이같은 점에 공감해 인상률과 인상시기를 고려하고 있는 중이다.

하지만 에너지경제신문 설문조사 결과 국민 76%가 현 전기요금 수준이 적정하거나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적정하다’는 응답이 49.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싸다’가 27.7%로 뒤를 이었다.

국민 대다수가 더 이상의 요금 인상은 말 그대로 부담이 된다고 입을 모은 것이다. 서민부담 등을 고려해 요금을 인상하겠다던 정부의 입장에선 난해할 수밖에 없다. 단순히 인상률 조정만으로는 답이 나오지 않는 형국인 것이다.

2010년 기준 주요 OECD국가들의 전기요금(종합판매단가)을 놓고 봤을때 우리나라는 kWh당 86.80원으로 미국 112.87원, 프랑스 129.20원, 영국 163.82원, 일본 222.14원보다 한참 저렴하다. 원가 보상률을 충족하는 경우 저렴한 전기요금은 경쟁력이지만 최소한의 원가 상승 요인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에선 빚잔치의 주범이자 전력 과소비의 원인이 된다.

전기요금이 우리나라보다 2배 비싼 일본에서는 절전이 생활화 돼 있다. 비용 지출을 줄이려는 습관이 몸에 베인 탓이다. 본지 설문조사에서도 전기요금 인상은 절전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바른 정보제공을 통해 전기요금 현실화를 이루고, 또 아껴 쓰는 습관을 길러야 할 대목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