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내 한 부동산 중개업소.연합뉴스 |
4일 한국부동산원 주택유형별 매매 통계(신고일 기준)에 따르면 올해 3월 서울 전체 주택(단독·다가구·다세대·연립주택·아파트) 매매 5098건 가운데 빌라(다세대·연립주택)는 3303건으로 집계됐다.
빌라 매매 비중은 약 64.8%로 관련 월간 통계 집계 시작(2006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 빌라 매매 비중은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4개월 연속(62.8%→63.4%→60.2%→64.8%)으로 60%를 넘겼다.
연간 기준 매매량으로도 지난해 51.1%로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올해 들어서는 그 비중이 더 커지는 추세다.
지역별로 보면 강북구(84.5%)와 강서구(83.3%) 빌라 매매 비중이 80%를 넘었다.
이어 양천구(79.7%), 금천구(74.5%), 은평구(72.8%), 송파구(72.6%), 도봉구(71.9%), 강동구(71.7%), 구로구(69.8%), 마포구(67.2%), 중랑구(66.9%). 동작구(66.3%), 관악구(64.9%) 등 순이었다.
2020년까지만 해도 월간 아파트 매매량은 빌라보다 통상 2∼3배까지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빌라는 거래 부족으로 환금성이 떨어지고 가격도 잘 오르지 않는다는 인식 탓에 아파트 선호가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아파트 매매는 장기간 가격 급등에 따른 피로감, 대출 규제 및 금리 인상 압력 등이 겹쳐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올해 3월 전체 주택 매매 건수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24.2%로 관련 통계 집계 시작 이후 월간 최저치로 떨어졌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 통계에서도 작년 1월부터 올해 3월까지 15개월 연속 빌라 매매 건수가 아파트 매매 건수를 추월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지난달에도 현재까지 신고된 빌라 매매는 2178건, 아파트 매매는 823건이었다. 아파트 매매가 빌라 매매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이다.
아파트와 빌라 간 가격 차이도 수요가 몰리는 주요 원인으로 풀이된다.
부동산원 시세 기준으로 올해 3월 서울 평균 아파트값은 11억5015만원인데, 빌라 평균 매매가는 3억5267만원이었다. 빌라값이 아파트값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다.
또 시가 9억원을 넘지 않는 빌라는 아파트와 달리 무주택자가 매수하면 별도 전세자금대출도 받을 수 있다.
올 들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로 금융권 대출을 받기가 더 까다로워진 가운데 가격이 싼 빌라가 고가 아파트보다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 영향을 덜 받는 셈이다.
서울시가 재개발 규제 완화를 골자로 추진하는 민간 재개발 사업이 올해 들어 본격화 된 점도 인기 요인이다.
서울시는 작년 말 민간재개발 후보지 21곳을 선정했고, 이들 후보지를 포함해 총 33곳에서 신속통합기획 재개발을 추진 중이다.
신속통합기획 민간재개발 사업은 작년에 민간 주도 개발 사업이 신속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서울시가 도입한 제도다. 이 사업에 선정되면 통상 5년 이상 걸리는 구역 지정 기간을 2년으로 단축해 준다.
hg3to8@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