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한국은행·통계청·금융감독원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신용대출 가구주 중 대부업체 등 ‘기타 기관 등’에서 돈을 빌린 가구주 비중은 7.9%다. |
10일 한국은행·통계청·금융감독원의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 기준 신용대출 가구주 중 대부업체 등 ‘기타 기관 등’에서 돈을 빌린 가구주 비중은 7.9%다. 지난해(6.9%)보다 1.0%P 상승했다. 이는 지난 2019년(11.4%) 이후 4년 만에 상승세로 전환한 것이다.
‘기타 기관 등’은 시중은행, 저축은행, 우체국·새마을금고 등 비은행금융기관을 제외한 기타 여신업체다. 급전이 필요한 저신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제도권 내 마지막 창구다.
2019년 정점을 찍었던 ‘기타 기관 등’ 대출 가구주 비중은 매년 하락하다 지난해 6.9%까지 내려갔지만 올해 다시 8% 턱밑까지 상승했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하위 20%인 1분위 가구주의 ‘기타 기관 등’ 대출 비중이 13.1%로 가장 높았다. 소득 5분위(6.4%)의 2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같은 기간 또 다른 급전 대출창구 중 하나인 보험회사 신용대출 가구주 비중도 0.8%에서 1.1%로 상승했다.
반면 제1금융권인 은행에서 돈을 빌린 차주 비중은 78.8%로 지난해(79.8%)보다 1.0%P 내려갔다. 은행 대출 가구주 비중은 2019년(75.3%) 이후 매년 상승하다가 4년 만에 하락세를 보였다. 저축은행, 우체국·새마을금고 등 비은행금융기관 대출 가구주 비중도 지난해보다 각각 0.2%P씩 하락한 3.8%, 8.4%로 집계됐다.
이는 차주들의 신용대출 수요가 제도권 내 마지막 창구인 대부업으로 이동한 것으로 풀이된다.지난해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금리가 오르자 저축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이 신용대출 규모를 줄였다. 실제로 지난해 저축은행 업계에서는 저신용자를 상대로 한 대출이 일부 중단되는 ‘컷오프 현상’이 나타났다. 채권 금리가 오르자 신용카드사들도 신용대출을 줄이는 모습이 관찰됐다.
문제는 고금리 장기화와 조달금리 상승으로 대부업마저 대출을 줄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신용등급이 낮은 서민들이 불법 사금융으로 내몰릴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국대부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 8월 나이스(NICE) 신용평가회사(CB) 기준 대부업체 69개사가 내준 신규대출 규모는 950억원으로 전년 동월(3066억원) 대비 69%(2116억원) 줄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불법 사금융의 기승으로 서민 피해가 커지자 지난달 열린 ‘불법사금융 민생현장 간담회’에서 불법사금융 처단과 불법이익 박탈 등 여러 방법을 강구할 것을 지시한 바 있다.
pearl@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