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장시간 근로자 비중이 지난 20여년간 크게 줄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수준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장시간 근로자 비중 현황 및 추이 국제비교' 보고서를 13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주당 60시간 이상 일하는 임금근로자 비중은 우리나라가 오히려 OECD 평균보다 낮았다.
OECD는 장시간 근로를 주당 50시간 이상, 60시간 이상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기준에 맞춰 우리 현황을 보면 2022년 주당 50시간 이상 일하는 임금근로자는 실근로시간 기준 253만명, 평소 소정근로시간 기준 224만명으로 나타났다. 각각 전체 근로자의 12.0%, 10.3%였다.
주당 60시간 이상 일하는 임금근로자는 실근로시간으로 67만명, 평소 소정근로시간으로 58만명이었다. 각각 전체 근로자의 3.2%, 2.7%를 차지했다.
2022년 우리 임금근로자 중 주당 50시간 이상 근로자 비중은 OECD 공표 평균(10.2%)과 비교해 평소 소정근로시간 0.1%p 차이로 거의 비슷했다. 실근로시간으로 보면 1.8%p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주당 60시간 이상 비중은 우리나라(3.2%, 2.7%)가 모두 OECD 평균(3.8%)보다 낮았다.
2022년 주당 50시간 이상 임금근로자 비중은 우리나라 실근로시간 기준 12.0%, 평소 소정근로시간으로는 10.3%였다. OECD 평균은 10.2%로 격차는 각각 1.8%p, 0.1%p였다.
주당 60시간 이상 임금근로자 비중은 각각 3.2%, 2.7%로 OECD 평균 3.8%에 비해 오히려 각각 0.6%p, 1.1%p 더 낮았다.
우리 임금근로자 중 장시간 근로자 비중은 OECD 평균보다 월등히 높았다. 이후 우리 장시간 근로자 비중이 가파르게 감소해 이제는 OECD 평균과 비슷해진 것으로 분석됐다.
2002년 우리나라 50시간 이상 임금근로자 비중은 실근로시간 47.9%, 평소 소정근로시간 42.6%로 절반에 가까운 근로자가 50시간 이상 일했던 것으로 분석됐다. 2002~2022년 OECD 평균이 2.1%p 감소하는 동안 우리나라가 15배 이상 크게 떨어졌다.
우리나라 60시간 이상 임금근로자 비중은 각각 22.1%, 20.0%였다. 약 20% 가량의 임금근로자가 60시간 이상 일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2002~2022년 OECD 평균이 2.0%p 감소하는 동안 우리나라가 8배 이상 크게 하락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실근로시간과 장시간 근로자 비중 통계 모두 우리나라가 더 이상 장시간 근로 국가가 아니라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근로자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근로시간을 더 단축하기 위한 노력은 여전히 필요하지만, 장시간 근로 해소가 정책 목표가 될 시기는 이미 지났다"며 “이제는 규제 위주 근로시간 정책 패러다임을 유연성과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는 정책 패러다임으로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