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가 '新고용취약계층'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10년간 40대 인구를 중심으로 고용시장을 분석한 결과 이들은 △남성 △비임금근로자 △제조업 부문 취업자 수 감소가 두드러졌으며 △'쉬었음' 인구와 △경력단절 여성 증가 등 노동력 유휴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新고용취약계층 40대의 고용흐름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0대 취업자 수는 626만명으로 2014년 대비 63만6000명 감소했다. 2022년과 비교하면 전체 취업자 수가 32만7000명 증가(전년비)했음에도 불구하고 40대 취업자는 5만4000명 줄며 20대를 제외할 때 유일한 취업자 수 감소 연령대로 분석됐다.
작년 기준 40대 취업자 626만명 가운데 남성은 367만7000명(58.7%), 여성은 258만3000명(41.3%)을 차지했다. 꾸준히 감소하고 있는 남성과 달리 여성은 2022년부터 취업자 수가 증가세로 전환됐다.
40대 취업자 중 임금근로자 비중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자영업자를 포함한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꾸준히 하락했다.
2014년과 비교해 40대 제조업 취업자 수는 15만4000명 빠진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취업자 수는 약 11만2000명 증가하는 등 산업구조 변화가 진행됐다.
40대 취업자 수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된 일자리 외 추가 소득을 위해 부업에 종사하는 40대는 오히려 증가했다(작년 9만8000명).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 8만4000명 수준이던 부업인구가 이후 빠르게 증가했는데, 이는 팬데믹 이후 경영 악화, 고금리 등의 어려움이 일부 반영된 결과로 추정된다.
40대 실업자 수는 2018년 16만8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후 점진적 감소세를 보이며 지난해 12만1000명으로 최근 10년간 가장 작은 규모를 보였다. 이 기간 비경제활동인구 수는 158만2000명으로 2014년과 비교해 8만5000명 줄었다.
지난해 40대 비경제활동인구 중 남성은 2014년과 비교해 7만3000명 많아진 반면 여성은 15만7000명 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노동시장 이탈 규모가 여성보다 큰 것으로 해석된다.
40대 비경제활동인구 중 조사 대상 기간에 '쉬었다'고 답변한 인구 수는 26만5000명(작년)으로 2014년과 비교하면 8만명 증가해 40대 유휴노동력의 증가가 심화됐다.
2019년 이후 40대 퇴직자 중 비자발적 퇴직자 비중이 40%를 꾸준히 상회하고 있다. 그 비중은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52.1%), 2021년(52.4%)에 특히 높았다.
지난해 기준 40대 경력단절 여성의 수는 59만명이다.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30대 경력단절 여성 수(54만4000명)를 넘어섰다. 이는 과거보다 혼인 연령이 높아지고 출산이 늦어짐에 따라 여성 경력단절 시기 역시 40대로 지연된 결과로 풀이된다.
40대 전체 인구는 796만명(작년)으로 2014년 대비 약 75만8000명 감소했다. 인구감소 영향 등으로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친 경제활동인구(638만명)도 2014년 대비 67만3000명 줄었다.
40대 인구 중 혼인 경험(이혼, 사별 포함)이 있는 기혼자 수는 650만5000명, 기혼율은 81.7%로 집계됐다. 2014년과 비교해 40대 기혼자 수는 147만4000명 감소해 인구 감소분(75만8000명)보다 더 크게 하락했다.
40대 인구 중 대졸(전문학사) 이상 비중은 63.5%로 고졸 이하(36.5%)보다 크게 높았다. 2014년과 비교하면 대졸 이상 비중이 큰 폭(18.6%p) 증가해 최근 40대의 인적자본 수준이 크게 향상됐음을 시사한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고도성장기에 취업한 과거 세대와 달리 저성장과 산업구조 전환기에 직면한 오늘날 40대 인력은 고용 안전성을 위협받는 상황"이라며 “우리 경제의 허리층인 40대는 가족부양과 소비, 납세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만큼 이들의 고용불안이 가계소득 감소, 내수 위축 등으로 이어져 국가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까지 정부 일자리 정책이 청년·고령자·여성 등에 집중돼 온 만큼 40대, 특히 중년 남성을 위한 맞춤형 고용정책은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제라도 40대 인력의 고용안정을 위한 별도의 일자리 대책이 논의돼야 하며 아울러 도래하는 산업전환이 40대 고용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이들의 신산업 적응력을 높이는 세심한 정책 배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