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18일(화)
에너지경제 포토

박경현

pearl@ekn.kr

박경현기자 기사모음




최대실적 중 ‘희망퇴직’ 꺼낸 김중현 메리츠화재 대표, 슬림화 이유는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14 14:52

메리츠화재, 전 직원 대상 희망퇴직 단행
기본퇴직금 포함 최대 5억원 수령 예상

‘최대실적 경신 중 이례적’ 평가
“젊고 활기찬 조직으로의 변모가 목적”

메리츠화재.

▲메리츠화재.

메리츠화재가 9년 만에 전 직원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에 들어간다. 취임 1년이 채 되지 않아 조직구조 효율화에 나서는 김중현 메리츠화재 대표 경영 행보에 시선이 모인다.


1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 5일 메리츠화재는 전 직원을 대상으로 '2024년 특별퇴직 기준안'을 공지했다. 해당 직원을 대상으로 이번주까지 신청을 받을 예정이다.


대상은 30세 이상의 일반 직군·사무지원 직군 직원이며 사실상 전 직원이 대상이다. 퇴직금은 직급과 근속연수 등을 기준으로 최대 38개월 분의 특별퇴직금을 비롯해 자녀학자금지원금(2000만원), 전직지원금(2000만원), 의료지원금(1000만원)을 지급한다.


임금피크제 적용 직원이 특별퇴직을 신청할 경우 임피 미적용 직원의 조건에 정년까지 잔여 근무월수를 60개월로 나눈 값을 곱해 퇴직금으로 지급할 방침이다. 지난해 말 기준 메리츠화재의 평균 연봉은 1억3000만원으로, 최대 38개월의 특별퇴직금을 받으면 기본 퇴직금을 포함해 5억원 가량의 수령이 예상된다.


퇴직금 규모는 은행권과 비교해 1억원가량 높다. 국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은행연합회에 공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달 초 기준 희망퇴직금 수령 수준은 3억~4억원 사이다.




통상적으로 희망퇴직은 고연봉자나 저성과자를 정년보다 먼저 내보내기 위해 법정 퇴직금에 더해 수개월에서 수년치 월급을 얹어주는 식으로 시행된다. 회사 측에선 업황난이나 재무적 이유가 있을 때 인력 감축을 통해 생산성 제고와 비용 절감을 목적으로 선택하기도 한다.


다만 메리츠화재는 당장 실적 방어에 있어 위급한 상황은 아니다. 메리츠화재는 지난해 당기순이익으로 1조5748억원을 기록해 역대 최대 실적을 거뒀다. 더군다나 보험사는 정기적으로 희망퇴직을 시행하지 않기 때문에 금융권 내에서도 희망퇴직이 활발하지 않는 업권이다.


메리츠화재의 직원 수가 이미 업계 대비 많지 않은 점을 보면 추가적인 조직 슬림화는 다소 파격적인 행보로 읽힌다. 금융감독원 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손해보험업계 1위 삼성화재의 경우 지난해 말 기준 직원 수는 5528명이다. 급여 총액은 8020억여원, 1인 평균 1억4300억원을 받아갔다. 같은 기간 메리츠화재 직원 수는 2886명으로 삼성화재의 절반 수준이다. 연간 급여 총액은 2643억원 수준이며 1인 평균 급여액은 1억3100만원가량이다.


이런 가운데 김중현 대표는 임기 초반 시점에서 희망퇴직 카드를 꺼냈다. 회사로선 9년 만에 희망퇴직 단행이다. 앞서 김용범 부회장이 대표이사로 취임한 뒤 2015년 인력 구조조정에 나서면서 대규모 희망퇴직을 실시한 바 있다. 당시 전체인력의 16%인 임직원 406명이 회사를 떠났다.


메리츠화재는 인력의 선순환 등을 위해 변화에 나선다는 설명이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메리츠화재는 새로운 시대를 이끄는 젊고 활기찬 조직으로 변화하기 위해 특별퇴직을 실시한다"며 “제2의 인생을 원하는 직원에게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향후 우수인재 영입과 재배치를 통해 조직의 선순환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에선 김 대표가 향후 시행할 전략과 사업 재원 마련 등을 염두에 둔 단행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희망퇴직은 인사 적체를 해소하기 위해서도 진행한다"며 “최근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메리츠화재가 성장성 확대를 위해 더욱 고삐를 죄는 것으로도 해석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