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30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송인호

sih31@ekn.kr

송인호기자 기사모음




인천시, 갯벌 고립사고 ‘드론 순찰’로 차단...‘제로화’ 기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6.27 09:24

지난해 시범사업 통해 위험 예방 우수 효과 확인
10월 31까지 무의도·영흥도 총 100일 투입 예정

인천시

▲무의도 하나개해수욕장에서 출입통제구역 등 위험구역을 순찰하는 드론 모습 제공=인천시

인천=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기자 인천시가 인천해양경찰서와 협업해 여름철 빈번하게 발생하는 갯벌 고립사고 사전 차단에 나선다.


시는 27일 지난해 갯벌 사고 예방을 위해 시범 운영했던 야간 드론 순찰 사업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올해도 지속 운영한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무의도 하나개해수욕장과 영흥도 내리어촌계 인근 갯벌을 순찰해 갯벌 활동객의 안전을 확보하고 구조 필요자 발견 즉시 알림 조치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지난해 시 연안에서 갯벌 고립으로 인한 사망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시는 인천해양경찰서와 갯벌 사고 예방 및 요구조자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야간 드론 시범 운영(10월 1일~11월 30일)에 돌입했다.


드론 시범 운영을 통해 880여명(무의도 340여 명, 영흥도 540여명)을 출입통제구역과 위험 지역에서 벗어나도록 계도했다.




갯벌 사망사고 제로, 도보순찰 대비 드론의 위험 예방 우수 효과 등을 확인한 시는 올해도 드론 활용을 통해 갯벌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올들어 지난 4월 25일부터 오는 10월 31일까지 무의도 65일, 영흥도 35일로 총 100일 야간 간조 전 1시간 전 드론을 투입해 순찰과 안전 계도에 나설 계획으로 갯벌 이용객이 많아지는 7~8월에는 20일간 총 33회를 운영할 계획이다.


보통 갯벌 해루질은 물 때(물이 빠지는 시간)를 고려해 사람이 적어 조용하고 조개의 활동이 활발해지는 밤에 많이 진행되지만, 야간에는 시야 제한으로 인해 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


드론을 활용한 순찰은 여러 이점이 있다. 이동이 자유로운 드론은 그간 갯벌 활동 인원 파악을 위해 동원한 열영상장비(TOD)의 사각지대와 장거리 인원 파악이 가능하다.


열화상 카메라와 확성기를 장착한 드론은 해경의 단속을 피해 불을 끄고 숨는 야간 갯벌 활동객을 식별할 수 있으며, 안전 수칙은 물론 위험 지역을 안내해 계도가 가능하다.


순찰 중인 드론은 위성항법장치(GPS)와 통신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위치가 확인돼 인명 및 재산 피해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시는 갯벌 순찰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해 보다 체계적인 안전관리 방안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김을수 인천시 해양항공국장은 “시범 운영을 통해 갯벌 사고 예방의 드론 순찰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앞으로도 드론 운영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시민 안전을 위한 관련 기관과의 협업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22일부터 순차적으로 개장한 인천의 해수욕장은 오는 9월 8일까지 운영할 예정이며 시는 백사장, 편의시설, 안전시설, 환경시설, 지원시설 등 해수욕장 시설에 대한 안전 점검 및 이용객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