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조하니

inahohc@ekn.kr

조하니기자 기사모음




中 무비자 입국조치에 K뷰티 ‘숨통 틜까’ 기대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1.06 17:18

한국인 비자 면제로 양국 교류 증대·관계 개선 기대감
“실적회복보다 현지 진출·中여행객 증가에 긍정 작용”
아모레·LG생건·애경 등 관망 속 면세점 마케팅 준비

8일부터 중국 무비자 입국 가능

▲서울 시내 한 여행사의 모습. 사진=연합

중국 정부가 1992년 수교 이후 처음으로 한국의 입국 무비자 조치를 시행하면서 증국 사업에 고전하는 국내 화장품업계에도 숨통이 다소 트일 전망이다.


비자 면제에 따른 양국 간 인적 교류 개선을 시작으로 현지 사업 분위기가 긍정적으로 전환되면서 중장기 관점에서 판매 확대·판로 확장 등에 용이할 것이란 의견이 나온다.


6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오는 8일부터 내년 12월 31일까지 일반 여권을 소지한 한국인 대상으로 무비자 입국 정책을 시행한다. 국내 화장품업계는 이번 무비자 입국 조치가 향후 한·중 양국 간 관계개선 신호탄으로 작용할 가능성에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현지 소비자 구매력이 매출 향방을 좌우하는 해외 사업 특성상 당장에 큰 정책 효과를 기대하긴 어렵지만, 무비자 입국 조치를 발판으로 문화 교류가 확대되면서 '한한령' 등 보이지 않는 걸림돌 상당수가 해소될 것이란 이유에서다.


한 ODM(제조사 개발 생산) 화장품 제조업체 관계자는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추가적으로 무비자 정책을 시행할 경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서 “국내 고객사의 중국 진출이 용이해지고, 중국 여행객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몇 년 간 국내 화장품업계는 중국 사업 정체기를 겪어온 온 터라 가뭄 속 단비와 같은 돌파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실제 지난 2017년 '사드(THH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에 따른 정치적 보복으로 중국 내 한한령이 거세져 수요가 급감했다는 업계 분석이다.


여기에 2020년 발생한 코로나19 대유행 탓에 현지 주요 도시에 봉쇄령이 내려지면서 업계의 중국 공략에 제동이 걸렸다. 일상 회복 후 사업 정상화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감도 높았으나, 2022년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미국 등 친서방 노선의 대외관계를 강화하면서 이마저도 기대 이하의 성과에 그쳤다는 업계 설명이다.


다만, 향후 문화 교류 확대로 중국 시장 분위기가 개선될 경우 K-뷰티 산업의 새 전환점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실제 중국 입국 무비자 소식이 전해지면서 덩달아 관련주 주가가 오르는 등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난 4일 기준 아모레퍼시픽과 LG생활건강은 전 거래일 대비 각각 5300원(4.41%), 6000원(1.81%) 각각 올랐다. 애경산업도 670원(4.38%) 상승 마감하는 등 투심이 개선되는 모습이다.


기세에 힘입어 국내 화장품업체들의 중국 공략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그동안 화장품업계 빅3로 꼽히는 아모레퍼시픽, 생활건강, 애경산업은 최대 시장이던 중국 사업의 비용 효율화를 꾀하는 동시에, 미국·유럽 등 다른 시장으로 수출 판로를 넓히는 방식으로 역량을 안배해왔다.


중국 현지 사업만 톺아보면 오프라인 규모를 줄이는 대신 이커머스 사업을 키우는 방식으로 고강도 구조조정을 단행하거나, 럭셔리·현지화 제품 등 시장 반응이 좋은 브랜드 위주로 마케팅을 강화하는 전략을 주로 채택해왔다.


화장품업계 관계자는 “양국 간 왕래가 용이해져 관련 채널 매출 확대가 예상된다"면서 “면세점 등 접점 채널들의 상품과 프로모션을 점검하는 등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