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병효

chyybh@ekn.kr

윤병효기자 기사모음




한국의 대미 협상카드는 ‘LNG·조선’…알래스카 LNG는 “실익 없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11 06:19

트럼프 대통령, SNS에 “한국과 LNG 구매, 조선, 알래스카 협력 대화”

LNG 연 4600만톤 수입량 중 미국산 564만톤, 대량구매 여지 있어

미국 해양패권 유지 위해 조선산업 필요…백악관 TF 구성, 한국과 협력

알래스카 LNG 본질은 북극항로 선점, 한국 기업엔 경제성 없어 참여 유인 떨어져

…

▲한국가스공사의 LNG 터미널.

미국 트럼프 정부가 전 세계 무역상대국을 대상으로 관세 협박을 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대미 협상카드는 액화천연가스(LNG)와 조선산업으로 분석된다. 현재 우리나라가 미국에서 유용하면서도 대규모로 수입할 수 있는 최상의 상품은 액화천연가스(LNG)가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나라에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를 원하고 있지만, 현재로선 경제성이 없어 기업들이 참여를 꺼리고 있다.


10일 정치권 및 에너지업계에 따르면 우리 정부는 미국에 대규모 LNG 물량 구매를 제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앞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한덕수 대통령권한대행과의 전화 통화 내용을 SNS 트루스 계정에 공유하면서 “한국의 대통령권한대행과 통화했다. 우리는 거대하고 지속가능하지 않은 무역흑자와 관세, 조선, 대규모 LNG 구매, 알래스카 파이프라인 조인트벤처 참여, 방위비 분담에 대해 얘기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에 우리나라의 미국 협상카드가 모두 나와 있다. 미국산 LNG 구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조선산업 지원, 방위비 분담이다.


1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8일 한덕수 대통령권한대행과 전화 통화 후 대화 내용을 자신의 트루스소셜 계정에서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의 무역흑자가 크다는 점을 강조했고, 이에 두 사람은 미국산 LNG 구매, 알래스카 LNG 참여, 조선산업 협력, 방위비 지불에 대해 대화했다는 내용이다. 사진=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트루스 계정


세계 3위 LNG 수입, 미국산 비중 12%…대량구매 여지 있어

우리나라는 세계 3위의 LNG 수입국이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LNG 수입량은 약 4600만톤이다. 수입처를 보면 호주 1140만톤, 카타르 888만톤, 말레이시아 613만톤, 미국 564만톤, 오만 472만톤, 인도네시아 304만톤, 러시아 211만톤 등이다. 미국산 비중은 12.3%밖에 안돼 미국산 LNG를 대량 구매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한규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미국 LNG 구매 전략을 묻는 질문에 “다 밝힐 순 없지만, 우리나라가 중동산 LNG를 많이 수입하는데 중동지역이 불안정하기 때문에 수입선 다변화가 필요하다. 그런 부분에서 미국과 윈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김 의원은 “결국 LNG를 구매하는 것은 기업이기 때문에 기업이 미국산 LNG를 구매하는 것에 대한 반대급부가 주어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기업의 수장은 배임이 된다. 그러지 않도록 인센티브를 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 조선산업 붕괴로 군함 보수도 못해…백악관 TF 구성, 한국과 협력

1

▲한화오션의 군함.

미국이 한국의 조선산업 협력을 강력히 원하고 있어 조선산업은 대미 협상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카드로 꼽힌다.


미국이 해양 패권을 장악하고 유지하기 위해선 강력한 해군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 미국은 조선산업이 붕괴돼 군함 보수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나날이 군사력이 쇠퇴하고 있다. 미 해군 함정 수는 이미 중국에 추월당했으며, 중국은 세계 1위의 조선 건조능력을 바탕으로 항공모함 보유 등 해군 군사력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 2위의 조선산업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와의 협력을 통해 군함 보수와 함께 미국 내 조선산업의 부흥을 모색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9일 미국의 조선업을 재건하고 중국의 해양패권을 저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안덕근 장관은 전체회의에서 “미국 백악관에서 조선산업 TF를 구성했고 우리 측과 긴밀히 협력 중이다. 미국이 조선산업에 굉장히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협력 확대를 위해서는 한미 동맹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알래스카 LNG사업, 경제성 없어 참여 꺼려…LNG 대량구매 협상력 필요

1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알래스카주 북단의 가스전(위쪽)부터 남단의 LNG 수출터미널(아래쪽)까지 1300km의 가스관 건설이 필요하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우리나라한테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돼 관련 기업들은 참여를 꺼리고 있다.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총사업비 440억달러(약 64조원)로 1300㎞의 파이프라인과 LNG 액화기지 및 수출터미널을 건설한다. 준공시기는 2030~2031년으로 예상하고 있다.


알래스카주가스라인개발공사(AGDC)는 프로젝트의 LNG 판매가격이 MMBtu당 6달러대로 저렴하고, 호르무즈해협이나 말라카해협과 같은 병목구간 통과 없이 6~7일이면 아시아로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내세우며 한국, 일본, 대만의 LNG 구매 및 프로젝트 참여를 원하고 있다.


하지만 시장조사기관 우드맥킨지의 분석은 다르다. 지난해 11월 발간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대한 분석에서 판매가격은 최소 8.97~12.8달러대가 될 것이며, 건설비 증가와 규제 등을 감안하면 10.21~13.72달러대가 될 것으로 봤다. 현재 한국, 일본 도착가격이 12.6달러대이고, 2030년즈음에는 LNG 공급과잉으로 가격이 더 내려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알래스카 LNG의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런 이유로 우드맥킨지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가 수출 효과보다는 일자리 창출, 지역 에너지 인프라 구축, 현지 가격 완화 등 지역 경제발전 효과가 더 클 것으로 분석했다.


결국 이 프로젝트는 수출보다는 지역경제 발전에 더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이다. 그 사업비를 아시아국가에 떠넘기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임은정 공주대 국제학부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의 궁극적 목적은 북극항로 선점을 통한 북극패권 장악이고, 그 수단으로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를 통해 알래스카주를 발전시키려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그린란드를 무력으로라도 뺏고 싶다고 말한 것도 같은 차원이라고 봤다.


LNG업계 한 관계자는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의 핵심은 1300㎞ 가스관 건설이다. 이것이 알래스카주 경제발전의 핵심이다. 그 비용을 한국 등 아시아국가에 대라고 하는 것"이라며 “알래스카 프로젝트 참여보다는 미국산 LNG를 많이 구매하는 방향으로 협상을 이끌어 내는 것이 우리한테는 더 나은 선택으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