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5%에서 2.2%로 낮춰 잡았다. 내년도 성장률 전망치는 2.1%에서 2.0%로 조정했다. 내수 회복이 더딘데다 미국의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수출 불확실성 확대가 영향을 미쳤다.
12일 KDI가 내놓은 '2024년 하반기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0.3%포인트(p)와 0.1%p 낮춰 잡았다. 지난 5월과 8월 각각 0.1%p 하향조정한 데 이어 이번에 더 큰 폭으로 내렸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내수회복이 생각보다 더 지연되고 있으며, 0.3%p 하향조정은 전적으로 내수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KDI는 보고서에서 “내년에는 내수가 일부 회복되겠지만, 수출 증가세가 완만해지면서 잠재성장률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취업자 증가폭은 올해 18만명에서 내년 14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물가는 1.6%를 제시해 목표치 2.0%를 밑돌았다.
특히 KDI는 내수부진이 점차 완화될 것으로 봤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 1.3%에서 내년 1.8%로 다소 높아질 것으로 점쳤다. 민간소비가 상품소비를 중심으로 미약한 증가세이지만, 시장금리 하락과 실질임금 상승폭 확대로 민간소비 여건은 일부 개선됐다는 게 KDI의 설명이다.
내수 리스크로는 건설 부진을 꼽았다. 건설투자 증가율은 올해 -1.8%에서 내년 -0.7%로 다소 완화되겠지만 완연한 회복으로 이어지기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내수부진과 관련해 '금리인하 실기론'도 언급했다. 정 실장은 “금리인하가 저희 생각보다는 조금 늦어졌고, 그 부정적 영향이 생각보다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무엇보다 '트럼프 리스크'를 경계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만 트럼프 2기의 관세장벽이 내년에는 현실화하지 않는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KDI는 지난 트럼프 1기 정부의 과정을 봤을때 시차가 걸릴 것이며, 설사 관세인상이 진행되더라도 2026년부터 진행된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정 실장은 “저희 생각보다 관세인상이 더 빠르게 진행된다면,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이 크고 내년 성장률 전망치(2.0%)도 달성하지 못할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KDI의 전망은 한국은행 전망치와 비슷한 수준이다. 한은은 지난 8월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 2.4%를 제시했다. 이후 이창용 총재는 국정감사에서 "올해 성장률이 2.2~2.3% 정도로 떨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외에 국제기구로는 국제통화기금(IMF)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 2.5%를 제시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