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FP/연합)
한국에 부과된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율이 25%로 최종 결정됐다.
3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은 “상호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에서 일부 국가들에 대한 관세율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공개한 패널대로 미 백악관이 목요일(3일) 하향 조정했다"고 보도헀다.
블룸버그는 이어 “10여개 국들은 경제적 타격에 대비하는 것은 물론 관세율에 대한 혼선을 빚은 채 상호관세 발표 첫날을 보냈다"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 오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율을 발표할 때 들고 있던 패널에서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였지만, 이후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기재됐다. 관세율 1%포인트 차이라고 해도 전체 대미 수출액을 고려하면 엄청난 규모다.
한국 외에도 인도, 스위스, 남아프리카공화국, 필리핀, 파키스탄, 세르비아, 보츠와나 등 10여개국도 트럼프 대통령이 들고 있던 패널보다는 관세율이 1%포인트씩 높았다.
그러나 이날 백악관은 행정명령 부속서에서 패널과 숫자가 달랐던 10여개 국가의 관세율을 모두 패널과 일치하도록 수정했다.
행정명령 부속서는 미국 정부가 각국에 실제로 부과하는 최종 상호관세율이다. 미 백악관 관리는 “부속서에 기재된 수치가 적용될 관세율"이라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당초 미국 측은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상호관세율의 숫자(26%)가 맞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이를 수정하겠다는 의사를 사전에 한국 측에 밝히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백악관은 3일 오후 행정명령 부속서의 한국 상호관세율을 25%로 수정한 뒤 이를 주미대사관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