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에너지기구(IEA)가 2024년 글로벌 에너지 산업의 특징을 '에너지 안보, 청정에너지 전환, 불확실성' 세가지로 요약했다.
중동지역의 위험 증가를 고려한 현재의 필수 과제로 '에너지 안보'를, 기후 목표를 달성하려면 훨씬 더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는 의미에서 '청정에너지 전환'을, 모든 미래 예측 분석에 항상 존재하는 요소이지만 올해 특히 눈에 뚜렷한 '불확실성'을 올해의 글로벌 에너지 산업 분야 주요 키워드로 선정했다.
IEA가 발표하는 대표 간행물인 월드 에너지 아웃룩(World Energy Outlook) 2024는 최근 발간을 통해 글로벌 에너지 수요와 공급 추세를 파악, 탐구한 연구 결과를 내 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동 분쟁으로 인해 석유 및 가스 공급이 장기적으로 중단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늘날 전 세계 석유 및 액화천연가스(LNG) 공급량의 약 20%가 이 지역의 해양 관문인 호르무즈 해협을 통해 흐르는데, 지정학적 위험이 여전히 높다. 반면, 시장의 균형 및 가격 완화 현상은 둔화될 것으로 예측됐다.
IEA가 분석한 모든 시나리오에서 효율성 향상, 전기화 및 재생가능 에너지의 급속한 확장으로 인해 전 세계 에너지 수요 증가세 또한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2030년까지 전 세계에서 판매되는 거의 모든 자동차가 전기차일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충전 인프라 출시나 정책 구현이 지연되면 이러한 성장은 악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청정에너지는 2023~2035년 사이에 총 에너지 수요 증가를 거의 모두 충족해 2030년 이전에 화석연료에 대한 수요가 전반적으로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이러한 추세는 경제 및 에너지 개발 단계에 따라 국가마다 크게 다를 양상을 보일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했다.
전력 수요의 경우 기존 용도(특히 냉방 및 냉각)와 함께 전기 이동성 및 데이터센터 탄생과 같은 새로운 용도 덕분에 전체 에너지 수요보다 훨씬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재생에너지는 전력 생산의 확장을 주도하며, 모든 수요 증가를 종합적으로 충족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빠르게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고 IEA는 분석했다.
태양광 제조 용량은 연간 약 1100GW에 달하며, 잠재적으로 2023년 대비 2035년에 거의 3배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IEA는 보고서에서 “중국 이외의 신흥시장 및 개발도상국에 대한 청정에너지 투자 비중은 이들 경제가 세계 인구의 2/3와 세계 GDP의 1/3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전체의 15%에 머물고 있다"고 진단하며, “일부 국가에서는 다양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과 정책 추진을 통해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추가로 5억5000만명이 청정연료를 이용한 요리를 할 수 있고 거의 2억명이 전기를 이용할 수 있게 됨에도 불구하고, 이는 여전히 보편적인 접근 목표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IEA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한국과 일본 양국의 에너지 산업을 비교 분석해 눈길을 끌었다.
IEA는 보고서에서 “오늘날 에너지 집약적 산업은 한국과 일본의 총 에너지 사용량의 22%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15%를 차지하고 있다. 양국의 이러한 산업은 화석연료를 주원료로 하며, 거의 모두 수입에 의존한다. 하지만 인구 감소와 에너지 효율화로 인해 화석연료 수요는 지속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양국에서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이미 많은 노력이 이뤄져 2000년 이후 30% 효율 향상을 거뒀다. 하지만 이러한 에너지 효율은 2035년까지 25% 더 향상돼야 한다"면서 “양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현재 18%에서 2035년 48%로 증가하고, 핵 발전량 비중 증가율은 17%에서 26%로 증가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한국은 청정에너지 기술 지원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정책자금 420조원과 녹색에너지 재원 조달을 위해 9조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할 계획이며, 일본은 2024년 세계 최초의 국채 전환 채권을 발행해 향후 10년 동안 공공 및 민간 자금 조달을 통해 150조엔 이상을 조달할 것"이라며 “경제의 탈탄소화를 가속화하는 것 외에도 이러한 새로운 녹색 에너지 투자는 일본과 한국의 에너지 수입 의존도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