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연내 출시할 예정인 XR 기기 '프로젝트 무한' 이미지.
확장현실(XR) 기기 시장이 개화를 앞둔 가운데 핵심 부품인 디스플레이의 국내 공급망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삼성·LG디스플레이 등이 완제품 분야 기술 개발에 매진하며 일정 수준 성과를 내고 있지만 소재·부품은 해외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XR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등을 아우르는 기술이다. 이용자들은 물리적 제한 없이 확장된 3차원의 공간에서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으로 다양한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다.
XR 기기에는 통상 고해상도 마이크로 디스플레이가 들어간다. 근접거리에서 화면을 봐야 한다는 특수성 때문이다. 각 디바이스 사용 환경에 따라 엘코스(LCoS), 올레도스(OLEDoS), 레도스(LEDoS) 기반 제품이 사용된다.
문제는 디스플레이 강국인 우리나라 기업들이 이들 기술 소재·장비를 국산화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실리콘 위에 액정을 형성하는 엘코스의 경우 라온텍 등 중소기업이 개발하고 있지만 패널은 대만·일본 등에서 외주방식으로 만든다. 렌즈 같은 광학기술 분야는 중국·이스라엘 업체들이 독점하고 있다.
애플 '비전프로'에 적용된 올레도스 기술은 실리콘 위에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증착하는 방식이다. 일본 소니가 유일하게 상용화에 성공했을 뿐 우리 기업들 소식은 아직이다. 업계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지난해 CES에서 공개한 올레도스를 제품화해 출시 예정인 삼성전자 XR기기에 납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리콘 위에 액정표시장치(LED)를 넣는 레도스 역시 국내에 LED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고민거리가 있다.
이동욱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 부회장은 최근 열린 'XR 산업전망 포럼'에서 “애플, 메타 외 수많은 중국기업들이 가격경쟁과 기술다양화로 XR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내기업들이 시장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유관 산업과 정보 교류·협력이 필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콘텐츠 등 XR 생태계 여러 요소들이 같은 배를 타고 협력하며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XR 기기 시장은 삼성전자, 메타 등이 연내 신제품을 출시하며 급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작년 나온 애플 '비전프로'가 흥행에 실패했지만 가격, 무게, 콘텐츠 등이 개선된 기기들이 추가되면 상황이 달라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시장조사기관 옴디아는 글로벌 올레도스 시장 규모가 작년 5억6000만달러에서 2028년 13억6000만달러로 2배 이상 성장한다고 내다봤다.
삼성전자는 비전프로에 맞설 '프로젝트 무한'을 연내 내놓을 계획이다. 이에 앞서 구글, 퀄컴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안드로이드 XR' 플랫폼을 새롭게 만들었다. 구글 제미나이(Gemini)와 결합해 헤드셋, 글래스 등이 판매된다.
삼성·LG 디스플레이가 XR 기기 시장을 놓치지 않기 위해 힘을 쏟고 있는 배경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 2023년 미국 패널 업체 '이매진'을 인수했다. 이를 바탕으로 XR 관련 기술을 개발해왔다. 올레도스 개발과 사업화를 전담할 조직도 만들었다.
LG디스플레이도 올레도스 신기술들을 각종 박람회 등에서 소개하며 역량을 쌓아가고 있다. 이 회사가 개발한 올레도스는 고성능 OLED 소자에 빛 방출 극대화 기술을 넣어 밝기를 기존 대비 40% 가량 끌어올렸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2월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와 만나 'XR 동맹'을 맺는 방안을 논의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디스플레이 시장은 중국의 공세가 거세고 일본도 부활을 노리고 있어 경쟁이 치열하다"며 “XR 등 성장 가능성이 큰 첨단 기술 분야 공급망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부·국회 차원 제도적 지원이 필요해 보인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