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26일(화)
에너지경제 포토

박경현

pearl@ekn.kr

박경현기자 기사모음




‘보험상품 비교·추천 서비스’, 막판 수수료로 줄다리기…'의미 퇴색' 우려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1.15 09:15

핀테크사, 자동차보험 수수료율 최대 3.7%로 가닥



보험사 "플랫폼 수수료 높아지면 상생금융 취지 무색"



일각에선 "가격 제각각 상품, 당초 의미 퇴색"

clip20240112194341

▲‘보험상품 비교·추천 서비스’ 이미지.


[에너지경제신문 박경현 기자] 시행 일주일을 앞두고 수수료 문제로 막판 샅바싸움을 벌였던 ‘보험상품 비교·추천 서비스’가 어떤 모습으로 출발을 하게 될지 시선이 모인다. 현재 주요 상품인 자동차보험에 3%대의 수수료가 책정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수수료로 인해 서비스가 유명무실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15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보험사와 핀테크사는 보험상품 비교·추천서비스내 중개수수료를 3%대를 부과할 것으로 협의 중이다. 최근 핀테크사들은 플랫폼 내 자동차보험 수수료율을 최대 3.7%로 가닥을 잡았다.

보험상품 비교·추천 서비스는 네이버, 카카오, 토스 등 플랫폼에서 여러 보험사의 온라인 보험 상품의 조건과 가격 등을 보기 쉽게 비교해주고, 소비자가 가장 적합한 상품을 선택해 편리하게 가입하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7월 혁신금융서비스 사업자로 11개 핀테크사를 지정한 뒤 단계별 준비기간을 거쳐 오는 19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서비스 시행을 앞두고 두 업계는 수수료를 쟁점으로 마지막 진통을 겪었다. 서비스 이용 시 사실상 소비자가 수수료를 부담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수수료율을 얼마로 정할 것이냐에 따른 것이다. 보험사들이 플랫폼사에 제공하는 상품에 대해 플랫폼 보험 요율을 추가 적용할 경우 플랫폼 상품 가격이 보험사 자체 홈페이지 가격보다 높아진다. 보험상품 비교 플랫폼에서 수수료가 5% 가량만 붙더라도 자동차보험료의 총액이 보험사 직접 가입 금액 대비 5만~10만원 가까이 차이(50세 남성·2000cc 이상 중형차량 기준)날 수 있다.

앞서 금융위는 서비스를 시행하는 핀테크사가 부과할 수 있는 수수료를 최대 4.99%로 제한했으나, 이에 대해 보험업계는 ‘다소 비싸다’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특히 정부가 금융권에 독려 중인 상생금융에 동참하자는 취지로 올해 자동차 보험료를 낮췄는데 플랫폼 수수료가 하락율보다 더 크게 더해지면 사실상 보험료가 내려간 취지가 무색해질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올해 인하하기로 한 자동차보험료에 대한 인하율을 체감하기 어려워지기에 상생금융 효과가 사라진다"고 말했다.

핀테크업계는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또한 현재 보험사들이 이용 중인 다양한 채널 중 하나로서 비용 부담은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한 플랫폼사 관계자는 "보험사는 설계사, 비대면채널(CM), 텔레마케팅(TM) 등 각 채널별로 요율 체제를 갖추고 있다. 기존 광고비용 대비 오히려 비용이 저렴할 수도 있는데 보험사가 플랫폼용 상품 가격을 높이면 부담을 소비자에게 돌리게 되는 것이 아니냐"며 "자동차보험의 경우 4% 미만의 수수료율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입장차로 인해 막판 치열한 협상을 이어 온 양 업계는 협의 끝에 3~4%대의 수수료율로 윤곽을 잡았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당국과 양 업계가 3~4%대 수수료로 틀을 잡고 협의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결국 일종의 서비스 이용료 부담이 소비자 몫으로 돌아간 모양새가 되면서 서비스가 유명무실해지는 것이 아니냐는 시각도 나온다. 한 보험업계 관계자는 "또 하나의 채널로 광고를 이용하는 셈이니 보험사 직접판매와 가격을 동일시 해야 한다는 입장의 핀테크업계와 플랫폼에 내는 비용 때문에 보험료를 다르게 책정할 수 밖에 없다는 보험업계 샅바싸움에 혁신성은 다소 줄었다"며 "보험사가 개별 요율을 정해 보험료를 올리면 사실상 뚜렷한 비교가 되지 않게 되면서 서비스 의미가 퇴색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서비스가 효용성을 잃지 않게 하기 위한 움직임도 나온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12일 금융당국이 플랫폼에서 수수료가 더해진 보험료가 보험사 채널에서 판매하는 보험료보다 높게 보여지면 안된다는 취지의 입장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두 업계 간 이견이 여전한 상황에서 당국이 사실상 보험사 요율 책정에 개입한 것이다. 핀테크업계는 12일 최종적으로 확정한 수수료율을 금융위원회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위가 이를 허용하면 최종 수수료율이 결정될 전망이다.


pearl@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