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들이 성장성 확대를 위해 해외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지만 녹록지 않은 모습이다. 업계는 영업환경이 어려운 국가보다 상대적으로 국내 금융권이 정착하기 용이한 환경에서 돌파구를 확대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
16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현재 국내 손해보험사 중 DB손해보험이 지난 2월 베트남 현지 손보사 베트남국가항공보험(VNI)과 사이공하노이보험(BSH)의 지분을 인수 계약 과정을 완료했다. DB손보는 앞서 베트남시장에서 우편통신보험(PTI) 지분도 양수한 바 있다.
생명보험사의 경우 삼성생명이 태국과 중국에, 한화생명이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와 중국에, 신한라이프생명이 베트남에 법인을 통해 진출한 상태다.
생·손보업을 넘어서 업권을 확장해 진출하는 경우도 속속 나오고 있다. 한화생명은 지난 4월 인도네시아 현지 은행인 '노부은행' 지분 투자를 통해 국내 보험사 최초로 해외 은행업에 진출했다. 당시 인니 리포그룹이 보유한 노부은행의 지분 40.0% 매입을 발표하며 리포그룹과의 디지털 영업 등을 협업해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캐롯손해보험은 지난 2월 인도네시아 리포손해보험(리포손보)의 BBI(운전습관 연동형 보험) 솔루션 구축 사업을 수주하면서 비보험 수익 기반을 만들기도 했다.
국내 보험사들이 해외 사업을 늘려감에 따라 관련 실적 또한 늘어나는 추세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해외에 진출한 국내 보험사(생·손보) 11곳의 이익은 1억2259만달러 가량을 기록했다.
다만 보험사들이 법인 진출 방식이 아닌 지점을 통해 직접 영업하는 방식으로 뿌리를 내리는 건 아직까지 사막에서 밭을 경작하는듯한 어려움이 따른다고 입을 모은다.
KB손해보험의 경우 지난 1990년 미국시장에 지점 형태로 진출했고 2005년 법인을 설립하며 터 잡기에 나섰지만 2022년 7월 이사회를 통해 미국 법인 철수를 결정하고 같은 해 10월 신규 영업 중단에 들어갔다. 삼성화재는 이보다 먼저인 2017년 미국법인의 보유 보험계약을 재보험사에 넘기면서 영업을 내려놨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국내 보험사가 현지에서 영업을 하는 행위 뒤엔 생각하는 것보다 매우 높은 장벽과 허들이 있다"며 “해당 국가 당국의 수많은 라이센스 허가는 기본이고 현지 업권에 형성돼있는 사업방식, 국민 문화, 선호 상품이나 영업채널, 규모의 경제 차이 등 넘어야 할 산이 매우 많다"고 설명했다.
최근 보험사들은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 쪽으로 시선을 옮기는 전략에 나섰다. 특히 신남방 4개국 중 하나인 인도네시아에 대한 업계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다. 인도네시아는 세계에서 인구가 4번째로 많은 나라이면서 5% 내외의 경제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등 진출과 수익성 확장에 있어 용이한 조건의 해외시장으로 꼽힌다.
현재 인도네시아에서 국내 보험사는 KB손해보험, 메리츠화재, 삼성화재, 한화생명이 현지법인을 운영 중이며 DB손해보험은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어떤 국가든 치밀하게 전략을 세우고 환경마다 방식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보험연구원은 “인도네시아 내 생보 시장의 경우 경쟁이 매우 치열해 국내 보험사의 수입 대비 순이익 비율은 1%대"라며 “해당 국가 진출을 고려하는 생보사들은 인도네시아 생명보험 시장의 환경이 우리나라와 매우 다르다는 점, 경쟁이 치열하다는 점, 유닛링크 보험의 시장 점유율이 높다는 점, 샤리아 생명보험이 빠르게 성장한다는 점, 현지 직원의 업무능력 편차 등을 고려해 효과적인 진출 전략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