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 사태 이후 사상 최악의 '보릿고개'에 시달리고 있는 국내 건설업에 기회가 찾아 왔다. 수십조원 규모의 전국 지상철도 지하화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다른 인프라 공사 및 주택 시장 위축의 공백을 메워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건설업계는 정부가 내년부터 본격 추진할 '철도 지하화 사업'이 최근 국내외 수주 감소를 만회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수주의 경우 수도권 아파트 공급 계획 실패에 따른 착공 감소, 지방의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한 발주 위축 등에다 현 정부의 '건전 재정' 기조로 공공 투자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면서 계속 줄어들고 있다. 올해 8월 말까지 국내 건설수주액은 총 122조4013억원에 그쳤는데, 연말까지 지난 3년치 평균(228조원) 대비 급감한 184조5000억원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대형 건설사들 역시 1년 전 대비 영업이익이 대폭 감소하는 등 '보릿고개'를 호소하고 있다. 해외 수주도 당초 목표인 연간 400억달러에 크게 못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같은 상황에서 정부가 전국 주요 도심을 가로지르는 철도를 지하로 옮긴 뒤 지상부 공간를 복합 개발하는 '철도 지하화 사업'에 본격적으로 나서자 건설업체들이 반색하고 있다. 최근 마감한 국토부의 사업 제안 신청에 서울, 인천, 대전, 경기, 부산 등 5개 광역지자체가 뛰어들었다. 구체적으로 △서울 경부선(연계노선 포함 34.7km)과 경원선(연계노선 포함 32.9km) △인천·경기도 합동 경인선(22.6km) △대전 대전조차장 및 대전역 △경기 경부선(12.4km)과 안산선(5.1km) △부산 경부선(11.7km) 등이다. 총 길이로 치면 무려 119km나 된다. 특히 수도권에서만 노선 108km 지하화를 제안했다.
이 공사들이 다 채택되진 않겠지만 워낙 전체 규모가 커서 일부만 착공해도 수십조원의 신규 공사가 발주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서울시는 25조6000억원, 경기도와 인천 역시 각각 10조원 정도의 예산을 예상하고 있다. 부산시는 경부선 11.7km 구간 지하화에 3조 6000억원이 필요하다고 봤고, 대전시도 수조원 대가 예상된다.
국토부는 사업 계획과 비용, 재무적 타당성 등을 검토해 오는 12월 1차 사업 대상을 선정한다. 이후 추가 제안서 접수를 거쳐 내년 말까지는 노선을 포함한 철도지하화 종합계획을 내놓을 예정이다.
업계에선 철도 지하화사업이란 메가 프로젝트가 수주 가뭄을 겪고 있는 건설 산업에 '단비'가 되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철도 지하화 공사는 높은 기술력이 요구돼 현대건설, 쌍용건설 등 뛰어난 시공 기술력과 풍부한 경험을 가진 주요 건설사들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예컨대 현대건설은 최근 32억 달러 규모 파나마 해저터널 공사를 맡아 기술력을 과시했다. 이 프로젝트는 2021년 2월 시작된 파나마 메트로 3호선의 1번 정거장(알브룩역)과 3번 정거장(파나마 파시피코)을 연결하는 4.5㎞ 길이 터널 공사다. 쌍용건설도 지난 9월 준공된 8호선 별내 연장선과 현재 진행 중인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C노선, 강릉~제진 단선 전철 등 각종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주요 철도역 등 도심 내 핵심 요지에 위치한 상부 부지개발도 건설업체들의 먹거리가 될 수 있다. 다만 지자체들이 막대한 지하화 비용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을 지,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가장 필요한 곳부터 개발하는 스케쥴링과 추진력도 관건이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서울, 경기, 인천 모두 합하면 50조원 가까이 되는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되어야 하는데, 100조원 이상 투입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중요한 것은 시간인데, 10km짜리 서부간선도로 지하화 공사만 해도 10년이 걸리는데, 서울 시내 구간 철도 지하화의 경우 실제로 완공되는 것은 2050년 이후가 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