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세대(3G) 이동통신 회선 가입자 수가 올해 역대 최저치를 갱신했다. 데이터 트래픽도 지속 감소세를 이어감에 따라 서비스 조기 종료 여론이 힘을 얻는 모습이다.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유·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 및 무선 데이터트래픽 통계'에 따르면 지난 9월 3G 회선 가입자 수는 전년 동기(75만7089명)보다 25.87% 감소한 56만1258명으로 올해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로써 3G 가입자 비중은 전체 통신서비스 회선(5697만6252명)의 0.99%를 차지, 처음으로 1% 미만 수준까지 내려갔다.
이 중 3분의 1가량은 알뜰폰 임대 회선이다. 통신사별로 △SK텔레콤 27만6486명 △KT 8만5057명 △알뜰폰 19만9715개로 각각 17.16%, 31.14%, 33.37% 하락했다. LG유플러스는 3G 서비스를 운영하지 않아 가입자가 없다.
올해 3G 가입자 수는 매달 1만~2만명씩 감소하고 있다. 이를 감안하면 연말엔 50만명대로 진입할 가능성이 높다.
같은 기간 3G 데이터 트래픽도 24테라바이트(TB)로, 전월(22TB) 대비 2TB 가량 증가했지만 지난 7월 기록한 25TB 이상으로 오르지 못하고 있다. 전체 데이터 트래픽(112만2940TB)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0021%에 불과하다.
이는 4세대 이동통신(LTE)과 5세대 이동통신(5G)이 상용화됨에 따라 이용자가 이동하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이다. 3G는 지난 2002년 국내에 보급되기 시작해 2011년 2세대 이동통신(2G) 가입자 수를 앞질렀다.
현재 SKT와 KT가 3G 용도로 활용 중인 2.1기가헤르츠(㎓) 대역 20메가헤르츠(㎒)폭 주파수 이용 기간은 오는 2026년 12월 말까지다. 정부는 내년 6월까지 3G 주파수 재할당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재할당할 경우 이용 기간을 탄력적으로 부여하거나, LTE 이상 기술 방식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과기정통부는 과거 2G 서비스 종료 조건으로 점유율 1% 이하를 제시한 바 있다. SKT는 2020년, LG유플러스는 2021년 각각 2G 서비스를 종료했는데, 당시 가입자 수는 각각 39만명, 14만명대였다. 이를 감안하면 조기 종료 조건은 성립한 셈이다.
다만 과기정통부는 최근 “사업자들이 원할 경우 가입자 수·시장 수요 등을 검토해 3G 서비스를 미리 종료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기존 가입자 보호 정책 및 일부 반발이 나타날 수 있음을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3G 수요층에 대해선 알려진 바 없지만, 상대적으로 스마트폰을 많이 이용하지 않는 노년층이나 저렴한 요금제로 휴대폰 1개를 더 이용하는 '세컨폰' 가입자 비율이 높을 것으로 추정될 뿐이다.
통신업계에서는 최근 에너지 사용량 절감 및 차세대 통신망 활용 측면을 고려할 때 3G 서비스를 조기 종료해야 한다는 여론이 힘을 얻고 있다.
스티브 무어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기후행동대표는 지난달 '모바일360 아시아태평양(M360 APAC) 서울' 라운드테이블에서 “2G·3G 기지국을 폐쇄하면 에너지 사용량을 40% 절감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역시 “3G 조기 종료는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에 뒤처지지 않기 위한 필수 과정"이라며 “환경적 측면에서도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조치"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26년 주파수 사용 기간 만료 시기에 맞춰 3G 서비스 종료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 한 관계자는 “(조기 종료에 대해) 내부적으로 아직 결정된 사항은 없다"며 “3G도 중요하지만 현재로썬 6세대 이동통신(6G)이나 인공지능(AI) 등 미래 기술에 대한 투자 비중이 커지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영국과 독일은 2021년 3G 서비스를 종료했다. 미국 AT&T와 버라이즌, T모바일은 2022년에, 일본 KDDI와 소프트뱅크는 각각 2022년과 올해 서비스를 종료했다. NTT 도코모는 2026년까지 서비스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