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27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4월에 이미 30℃, 가을까지 이어진 폭염…이상기후 내년 더 만만치 않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2.26 15:20

올해 지구 연평균 기온 처음으로 산업화 이전 대비 1.5도 넘겨
4월과 8월에 가장 이르고 늦은 열대야 동시에 발생한 해 기록
따뜻한 날씨로 기록적 폭설 발생, 11월 역대 세번째 많은 적설

서울 일부지역에 대설경보가 발효된 지난달 27일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일대에서 차량이 서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일부지역에 대설경보가 발효된 지난달 27일 서울 서초구 반포대로 일대에서 차량이 서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천=연합뉴스) 이주형 기자 = 10일 새벽 시간당 100mm가 넘는 극한 호우가 쏟아진 충남 서천군 한산면 단상리의 주택가가 산사태로 쏟아진 토사에 파묻

▲지난 7월 10일 새벽 시간당 100mm가 넘는 극한 호우가 쏟아지면서 충남 서천군 한산면 단상리의 주택가가 산사태로 쏟아진 토사에 파묻혀 있다.

'폭염' 추석

▲추석인 지난 9월 17일 전국이 35도 이상 기온을 기록한 가운데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시민들이 한여름처럼 분수대에서 물놀이를 하고 있다.

올해는 지구 연평균 기온이 처음으로 산업화 이전 대비 일시적으로 1.5도(℃)를 뛰어넘었다. 이로 인한 이상기후는 우리나라에도 그대로 나타났다. 4월 기온이 30도를 넘고 그로 인한 폭염은 가을까지 이어졌다. 11월에는 폭설이 쏟아졌다. 내년은 이러한 이상기후 현상이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26일 기상업계에 따르면 올해 여름 폭염의 전초전은 지난 4월부터 시작됐다. 지난 4월 14일은 서울 기온이 30도까지 올랐다. 올해 4월은 역대 가장 더운 4월로 기록됐다.


6월부터는 최고 기온이 33도를 넘는 폭염이 시작됐고 지난 6월 21일에는 역대 가장 이른 열대야가 나타났다.


장마는 길지 않았으나 강렬했다. 올여름 전국 평균 강우량은 602.7㎜로 평년보다 적었으나 장마철에 여름철 강수량의 78.8%가 몰아쳤다. 이는 지난 1973년 이래 가장 높은 비율이다.


장마철은 7월 하순에 종료됐다. 장마는 폭염을 식히는 데 역부족이었다. 장마 이후 찜통더위가 시작됐다.




올해 8월은 역사상 가장 덥고 습한 날씨로 기록됐다. 전국 평균 최고기온은 33도, 평균 최저기온은 24.1도, 한달 평균기온은 27.9도였다. 그 더웠던 2018년보다 한달 평균기온이 0.8도나 높았다.


열대야일수는 20.2일로 역대 1위, 폭염일수는 24.0일로 역대 3위였다.


더운 날씨로 전력소비량이 폭주했다.


지난 8월 20일 전력수요는 9만7115메가와트(MW)를 기록했다. 종전 기록인 지난 2022년 12월 23일 9만4509MW보다 2.8%(2606MW) 높다.


9월에도 가장 늦은 열대야가 이어지는 등 폭염은 끝날 줄 몰랐다.


추석 연휴는 더위 탓에 가을 청취를 느낄 수 없었다.


추석 연휴기간인 지난 9월 14~17일 동안에는 최고기온 기록이 세워졌다. 9월 14일에는 김해가 36.5도, 고창 36.1도를 기록했다. 9월 17일 전남 광주가 35.7도, 의령은 37.2도, 순창은 36.6도로 9월 최고기온 기록들을 갈아치웠다. 열대야도 발생해 강원 춘천 지역에는 9월 17일에 열대야가 발생했다.


추석 연휴 이후에는 서울에서 9월 19일까지 열대야가 나타났다. 제주도에는 9월 20일에도 열대야가 발생해 역대 가장 늦은 열대야를 기록했다.


올해 지구가 가장 더운 해였는데 우리나라에도 그 여파가 미친 모습이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올해를 역대 가장 더운해로 꼽았다.


WMO 보고서에 따르면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9월 지구 평균 표면 온도는 산업화 이전 시기인 1850∼1900년 평균보다 1.54도(±0.13도 오차)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역대 가장 더운 날씨는 기록적인 폭설로 이어졌다.


지난달 28일에는 서울에 28.6cm의 눈이 내렸는데 이는 역대 세번째로 많은 적설 기록이었다.


이례적인 폭설은 서해가 평년보다 2도 이상 따뜻해지면서 나타났다고 추정된다. 북쪽의 찬공기가 따뜻한 서해 바다를 만나 많은 수증기를 품은 눈구름대가 형성된 것이다.


기상청은 2025년 봄 기후 전망에서 “기온은 평년(11.6~12.2도)보다 높겠다"며 “강수량은 평년(221.1~268.4㎜)과 비슷하겠으나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릴 때가 있겠다"고 관측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