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서예온

pr9028@ekn.kr

서예온기자 기사모음




편의점업계, 정국 불안에 벌써부터 ‘최저임금 걱정’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1.06 16:32

탄핵가결로 조기대선 가능성에 ‘최저임금’ 이슈 걱정
박근혜 탄핵 직후 대선서 여야후보 ‘1만원 공약’ 전례
“코로나 때보다 더 불경기…알바생 인건비 부담 가중”
편의점주 “인하 안되면 업종·지역별 차등 적용이라도”

편의점 직원이 상품을 진열하고 있다.

▲편의점 직원이 상품을 진열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올해 '최저임금 1만원 시대'를 맞은 편의점업계가 최근 대통령 탄핵 가결로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지자 벌써부터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을 걱정하는 분위기다.


가뜩이나 내수 침체와 출점 경쟁에 따른 시장 포화로 매장 수익률이 둔화되는 상황에서 최저임금이 크게 오를 경우, 아르바이트생(알바생) 의존도가 높은 편의점의 경영이 더 팍팍해 질 것이라는 우려 때문이다.


더욱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직후 치러진 제 20대 대선에서 여야 대권후보들이 앞다퉈 '최저임금 1만원' 공약을 내걸은 전례가 있어 편의점들은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비슷한 양상이 나올까 촉각을 세울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6일 편의점업계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최저시급이 1만30원이 적용됐다. 이에 따라 편의점주들이 알바생에게 지급해야 하는 실질 최저임금은 주휴수당 등을 포함해 1만4000원가량으로 올랐다.


최종열 CU편의점가맹점주협의회 회장은 “지금은 코로나 때보다 상황이 안 좋다"며 “체감상으로는 전체 편의점 매장 평균 매출이 전년 대비 30% 정도 떨어졌다"고 전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조기대선을 치르면서 최저임금 인상 폭이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편의점주들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가결 이후 조기대선 가능성이 높아진데다 최저임금 이슈가 매년 최저임금을 결정하는 5월과 시기상 겹칠 경우 표를 의식한 여야 후보들이 최저임금 인상 폭을 높게 제시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실제로 지난 2016년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후 진행된 제19대 대통령 선거 때 대부분의 후보가 '최저임금 1만원'을 공약한 바 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2020년 1만원 달성을,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는 2022년 1만원 달성을 공언했다. 따라서, 최저임금 인상 폭이 올해 조기 대선과 맞물려 더 커질 수 있단 분석이 나온다.


계상혁 전국편의점주협의회 회장은 “기존에도 대통령 탄핵 이후 대권후보들은 최저임금 1만원 공약을 내걸았다"며 “최저임금을 매년 5월 정하는 시기에 대선이 치러질 경우 최저임금을 올려야 한다는 여야후보들 공약에 정부와 최저임금심의위원회도 어떻게 할 도리가 없지 않겠느냐"며 걱정했다.


한편, 최저임금 상승으로 현재 편의점업계 무인점포 수는 계속 늘고 있다. 지난달 기준 CU·GS25·세븐일레븐·이마트24 등 편의점 4사의 전국 무인·하이브리드 점포 수는 약 4000개에 이른다. 2019년보다 20배 가량 늘어난 수치다.


아울러 편의점주들은 최저임금 인상이 지속될 경우 '쪼개기 채용(시간단축 채용)'이 불가피하고, 더 나아가 알바 일자리가 줄어들어 노동시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종열 CU편의점가맹점주협의회 회장은 “일부 지방에서는 알바생들이 '최저임금 안 줘도 된다. 일만 시켜달라'고 한다"면서 “현실적으로 최저임금 인하가 불가능하다면 업종별 지역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