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윤호

kyh81@ekn.kr

김윤호기자 기사모음




삼성디스플레이 ‘슬림폰·폴더블폰’으로 실적 반등 노린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03 16:06

삼성디스플레이, 수출 둔화 영향 작년 수익성 하락

LTPO OLED·폴더블 패널 공급해 턴어라운드 기대

올 초 '갤럭시 언팩 2025'에서 공개된 (왼쪽부터) '갤럭시 S25 엣지', '갤럭시 S24 울트라', '갤럭시 S23 울트라' 모형들. 사진 = 삼성전자.

▲올 초 '갤럭시 언팩 2025'에서 공개된 (왼쪽부터) '갤럭시 S25 엣지', '갤럭시 S24 울트라', '갤럭시 S23 울트라' 모형들. 사진 = 삼성전자.

지난해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든 삼성디스플레이가 '슬림폰'과 '폴더블폰'을 앞세워 실적 반등을 꾀한다.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경쟁을 강화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를 통해 수익성 개선을 모색할 전망이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9조1357억원, 3조6801억원으로 전년 대비 5.9%, 33.1% 감소했다. 정보기술(IT) 기기 수요 감소로 인한 수출 둔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지난해 8월부터 12월까지 디스플레이 수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삼성디스플레이가 주도하던 스마트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시장에서 중국 BOE의 약진도 실적 부진의 원인으로 꼽힌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폰 OLED 패널 출하량 기준으로 BOE가 2억200만장을 출하하며 삼성디스플레이(2억100만장)를 소폭 앞질렀다. 비보, 오포, 아너 등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자국산 부품 비중을 늘리면서 BOE의 점유율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 삼성·애플, 슬림폰으로 시장 공략…삼성D 'LTPO OLED' 독점 공급

이러한 상황에서 삼성전자와 애플이 신제품 라인업을 다변화하며 삼성디스플레이에게 기회가 찾아올 전망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들 제조사의 신제품에 패널을 독점 공급하면서 실적 반등을 기대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애플은 올해 각각 '갤럭시S25 엣지'와 '아이폰17 에어(가칭)'라는 슬림형 스마트폰을 출시할 예정이다. 스마트폰 디자인 변화가 제한적이었던 최근 몇 년간의 흐름과 달리, 두께를 줄인 새로운 모델을 통해 시장 공략에 나선 것이다.




두 제품에는 '저온다결정산화물(LTPO) OLED' 패널이 적용되며, 삼성디스플레이가 전량 공급할 예정이다. LTPO OLED는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도 높은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어 프리미엄 스마트폰에 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글로벌 LTPO OLED 시장에서 전체 매출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며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삼성디스플레이는 스마트폰 OLED 패널 사업을 가장 먼저 시작한 만큼, LTPO OLED 기술에서도 경쟁사 대비 우위를 보인다"며 “오랜 기간 다양한 고객사와 신뢰 관계를 구축한 것도 강점"이라고 말했다.


◇ 폴더블폰 시장 확대… 삼성D, 장기 성장 동력 기대

폴더블(접는) 스마트폰 시장의 확장도 삼성디스플레이에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올해 하반기 '갤럭시Z 폴드7'과 '갤럭시Z 플립7'에 더해, 화면을 두 번 접는 트리플 폴드폰 '갤럭시G 폴드'도 선보일 계획이다. 삼성전자가 트리플 폴드폰을 출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달부터 갤럭시Z 폴드7용 OLED 패널 양산을 시작하며, 이후 플립 및 트리플 폴드 모델용 패널도 순차적으로 생산할 예정이다.


특히 애플이 내년 말 폴더블 아이폰을 출시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에 중장기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애플의 폴더블 패널을 독점 공급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김소원 키움증권 연구원은 “삼성디스플레이는 2019년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용 패널을 처음으로 공급한 이후 6년간 독점 공급을 이어왔다"며 “수천만 대의 폴더블 패널 양산 경험을 가진 업체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사실상 유일하기 때문에, 향후 약 3년간 애플의 폴더블 패널도 독점 공급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