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트럼프 ‘상호관세 폭탄’에 글로벌 금융시장 출렁…수출 관련주 직격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03 15:55
USA TRUMP TARIFFS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EPA/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해왔던 상호 관세가 2일(현지시간) 전격 발표되자 글로벌 금융시장이 큰 혼란에 빠졌다.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시아에 적용된 상호관세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자 이곳에 생산기지를 구축한 수출 관련주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3대 지수는 불확실성 해소를 기대하면서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56% 올랐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기술주 중심 나스닥 지수 역시 각각 0.67%, 0.87% 상승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즉시 뉴욕증시 3대 지수 선물은 단숨에 급락했다. 한국시간 3일 오후 3시 49분 기준 다우 선물 2.28% 급락 중이고 S&P500 선물(-3.02%)과 나스닥100 선물(-3.42%)도 하락세다. 나스닥100 선물은 한때 4%넘게 하락하기도 했다.


미국 주식들도 시간외 거래에서 일제히 급락했다. 상호관세율 46%가 적용된 베트남에서 생산된 제품을 공급받는 나이키, 룰루레몬 등은 정규장에서 상승 마감했지만 시간외 거래에서 각각 7%, 11% 가량 급락했다. 중국 공급망에 대한 의존도가 큰 애플 주가 역시 시간외 거래에서 7% 넘게 빠졌고 엔비디아(-5.68%), 브로드컴(-6.30%) 등 반도체주는 물론 아마존닷컴(-6.10%) 등 빅테크 주가들도 동반 약세였다.


이같은 투매심리는 아시아 금융시장도 덮쳤다. 한국 코스피 지수는 전장 대비 0.76% 하락한 2486.70에 장을 마감했다.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는 전장 대비 2.78% 급락한 3만4733.34에 거래를 마감, '8·5 블랙먼데이'가 있었던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으로 3만5000선이 붕괴됐다.




기본 관세율인 10%가 부과된 호주 S&P/ASX 200 지수는 0.94% 하락 마감했고 중국 상해종합지수(-0.24%), 홍콩 항셍지수(-1.62%) 등도 약세다.


초고율 상호관세가 적용된 베트남 대표 주가지수인 VNI는 현재 전장대비 6.64% 급락한 1230을 기록 중이다.


아시아 증시 중에서 베트남에 생산기지를 구축한 수출기업들의 주가가 특히 크게 하락했다. 일본 아식스 주가는 이날 10.32% 급락했고 한국 한세실업(-8.54%), 영원무역(-10.83%), 화승엔터프라이즈(-6.72%), 대상(-4.79%), 호주 안셀(-14.34%), 홍콩 유원공업홀딩스(-5.06%) 등도 하락했다.


미국 경기 침체 우려 등의 여파로 달러 가치가 약세인 반면 다른 안전자산들은 강세 흐름이다.


주요 6개국 통화(유로화·엔화 등) 대비 달러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 선물은 전장 대비 1.16% 내린 102.285다. 반면 엔화 수요가 늘면서 엔/달러 환율은 전장 대비 1.39% 하락한 147.21엔이다.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해 10월 중순 이후 최저인 4.06% 수준으로 내려간 상태다. 국채 금리는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국제 금 가격은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금 현물 가격은 이날 오전 한때 온스당 3,167.84달러로 고점을 또다시 높였다.


글로벌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의 마이클 제자스 글로벌 채권 리서치 총괄은 “관세 계획은 투자자들이 예상했던 것보다 명확한 내용을 제공했다"며 “하지만 백악관이 공개한 관세의 강도를 봤을 때 글로벌 성장의 하방 리스크는 시장이 이미 반영했던 것보다 증가했다"고 블룸버그통신에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