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가 탄소배출권 거래소 유치실패의 아쉬움을 표명했다.
전남도는 14일 "국무총리 주재 녹색성장위원회 전체회의 심의에서 결정된 내용을 환경부에서 수용해 내린 결정을 존중한다"며 "앞으로도 탄소배출권 관련 사업을 집중 발굴해 국비 확보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도는 "배출권 거래제도 시작부터 시장 기능에 맡기면 탄소배출권 가격의 왜곡, 거래 저조 등 탄소 감축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한다"며 "일정기간 가격, 거래량 등의 정부통제로 탄소절감 시스템이 정착된 뒤 시장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한 만큼 전력거래소와 업무 연계를 여전희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녹색성장위원회는 위원 38명 중 36명이 참석한 최근 심의에서 주식과 파생상품을 직접 운영하는 한국거래소가 거래 업무를 맡는 것이 탄소배출권 거래 활성화에 유리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환경부는 이를 수용해 14일 한국거래소를 최종 운영기관으로 결정, 고시했다.
전남도는 그동안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나주)로 이전하는 전력거래소로 업무 지정이 되도록 유치활동을 벌여왔다.
풍력, 조력,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 자원이 풍부하고 여수산단 등 광양만 권역에 온실가스 배출권을 사고파는 거래 주체가 많은 점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유치위원회가 꾸려진 지 4년이나 됐지만 단 2차례만 회의가 열리고 대선 당시 지역에서 요구하는 공약에 탄소배출권거래소 사업을 누락시켰다가 뒤늦게 포함시키기도 해 '사업의지가 약한 것 아니냐'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또 환경부 기술평가가 끝난 뒤에야 국회에서 포럼을 열어 '뒷북친다'는 비난도 샀다.
탄소배출권거래소를 유치하려고 했던 전남 나주시도 유감을 표했다.
임성훈 나주시장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탄소배출권 거래제는 친환경 정책 차원에서 추진해야 하는데도 경제적 관점과 인프라를 내세운 것은 설립 취지를 벗어난 것으로 본다"며 "공동혁신도시에는 한국전력공사, 한전KPS, 한전KDN와 전력거래소 등 국가 전력기관이 이전해서 발전산업 기반시설이 구축되는 만큼 전력거래소에 반드시 유치됐어야 한다는 소신에는 지금도 변함이 없다"고 아쉬워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전남도 등의 유치 노력이 미미했고 지역국회의원들을 상대로 한 활동도 소홀해 유치 가능성이 처음부터 희박했다는 지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