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츠시타 히로유키 업스테이지 일본법인 대표, 최홍준 엔터프라이즈솔루션 부사장, 권순일 사업총괄 부사장, 이활석 최고기술책임자(CTO), 김성훈 대표(왼쪽부터)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미디어 간담회에서 취재진과 질의응답을 갖고 있다. 사진=이태민 기자
업스테이지가 문서 처리 엔진·경량언어모델(sLLM) 등 풀스택 AI 모델을 앞세워 글로벌 업무용 인공지능(AI)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미국·일본·동남아를 중심으로 시장 영향력을 확보한 후, 장기적으로는 중동으로 활동 영역을 확장한다는 전략이다.
문서 처리 엔진·LLM 등 '풀스택' 앞세워…“벤치마크 성능 가장 높아"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미디어 간담회에서 AI 산업 동향과 사업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이태민 기자
업스테이지는 16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미디어 데이에서 업무용 AI 솔루션을 통한 비전과 사업전략을 발표했다. 각 산업별 AI전환(AX)을 가속화해 새로운 글로벌 표준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한 핵심 동력은 AI 기반 광학문자인식(OCR) 문서 처리 기술 '다큐먼트 파스(DP)' △거대언어모델(LLM) '솔라'다. 이날 출시한 '솔라 프로 1.3'은 현존하는 개발 모델 중 벤치마크 성능이 가장 높다. 전작 '솔라 프로 1.2'보다 대규모 멀티태스크언어이해능력평가(MMLU) 등 벤치마크에서 1점 이상 성능을 높였다는 설명이다.
또 6월에는 기존 220억(22B) 매개변수에서 약 90B 확장한 330B 규모 언어모델 '솔라 프로 1.5'를 선보일 계획이다. 오픈AI 'o 시리즈'·딥시크 R1에 필적하는 '생각 사슬(CoT)'을 구현한 첫 추론 모델도 함께 공개할 예정이다.
OCR과 LLM을 통합해 멀티모달 영역으로도 확장한다. DP·솔라를 결합한 '비전언어모델(VLM)'은 △정보 요약 △질의응답 △보고서 작성 등 문서 기반 LLM 작업을 지원한다. 자체 테스트 결과 메타 '라마 4 스카우트'·구글 '제미나이 2.5 프로'보다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훈 대표는 “오늘 출시한 솔라 프로 1.3은 국내 경쟁모델 대비 한국어에서 압도적인 성능을 자랑한다. 일부 표현은 오픈AI의 챗GPT·앤트로픽의 클로드와 비교해도 밀리지 않는다"며 “솔라 프로 1.5의 경우, 지난 14일 기준 가장 뛰어난 모델로 꼽히는 중국 알리바바의 콰웬(Qwen) 2.5와 비슷한 성능 수준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美·日 깃발 꽂고 중동까지 간다…초현지화 전략 통해 생태계 구축

▲마츠시타 히로유키 업스테이지 일본법인장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미디어 간담회에서 현지 시장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이태민 기자
회사는 이같은 기술력과 현지화 전략을 토대로 글로벌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2월 미국 실리콘밸리에 이어 지난달 일본 지사를 설립한 가운데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기업들과 기업간거래(B2B) 시장에서의 사업 협력 기회를 발굴한다는 전략이다.
최근엔 KT와 태국 정보기술(IT) 전문 기업 자스민 테크놀로지 솔루션(JTS)에 태국어 특화 LLM을 구축, 국내 최초로 해외 소버린 AI 사업 사례를 남기기도 했다. 미국에서는 다음달 중 문서 특화 엔진 '워크스페이스'를 출시할 계획인데, 현지 고객사들의 러브콜이 들어오고 있다는 후문이다.
가장 공들이고 있는 시장은 일본이다. AI 솔루션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데다 국가 차원에서도 AI 기업에 최대 30% 법인세 감면 혜택 등 산업 진흥책을 펼치고 있어서다. 시장 조사 기업 IMARC 그룹에 따르면 일본 AI 시장은 2024년 6억6000만달러에서 2033년 35억2000만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업스테이지는 하이퍼 로컬라이제이션(초현지화) 작업을 위해 아마존웹서비스(AWS) 출신 마츠시타 히로유키 일본 법인장을 영입했다. 현지 스타트업과 합작해 일본어 특화 LLM '틴(Tin)'을 개발하고, 고객사 대상 공동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는 등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맞춤형 AI 솔루션으로 최고 수준의 정확도와 비용효율·유연성을 제공, 양국 간 실질적인 기술 협력을 도모하는 한편 산업군별 고객사 니즈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마츠시타 법인장은 “글로벌 빅테크의 경우, 모델 규모는 크지만 현지 최적화에는 한계가 있다. 일본 기업들은 정부 지원을 토대로 경량모델 중심 전략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제품 현지화와 교육 콘텐츠 개발, 산업별 접근 전략을 통해 일본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한편 업스테이지의 시장 입지를 넓혀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일본 시장은 진입 과정에서 1년 이상 인내심을 갖고 공들여야 (제품 구매·협업 등에 대한) 마음의 문이 열리고, 이후에는 오랜 친구처럼 왕래할 수 있는 곳"이라며 “현지 정착과 인지도 견인까지 최소 3년을 예상하고 잇으며, 반드시 깃발을 꽂고 오겠다는 의지를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국에서 검증된 AI 업무 표준을 글로벌 시장에 확산하고, AI가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나가겠다"며 “이는 자연스럽게 매출 확대 등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솔라 프로 1.5 출시 이후 내년부터 목표치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