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3월 28일 한미사이언스 주주총회에서 임종윤 한미사이언스 이사(왼쪽)와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가 간담회를 마치고 악수하는 모습. 사진=김철훈 기자
한미약품이 이달 하순 미국에서 열리는 당뇨병학회에서 자체개발 중인 차세대 비만약 연구결과를 발표한다.
현재 글로벌 비만약 돌풍의 주인공인 '위고비'의 효능을 뛰어넘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어 발표 결과가 주목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약품은 오는 21~24일(현지시간) 미국 올랜도에서 열리는 미국당뇨병학회(ADA)에서 자체개발중인 차세대 비만 치료 3중작용제 'HM15275'의 전임상 연구결과 4건을 발표할 예정이다.
HM15275는 근육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체중 25% 이상을 감량하는 효과가 기대되는 비만 치료제로, 한미약품의 비만 프로젝트 'H.O.P'(Hanmi Obesity Pipeline)의 두번째 파이프라인이다.
지난달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임상 1상 승인을 받은 HM15275는 3가지 작용제를 결합해 효능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우선, 현재 글로벌 비만 치료제 주류인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작용제를 채택, 포만감을 증가시켜 체중을 감소시키고 인슐린 분비를 개선해 혈당조절을 원활하게 한다.
여기에 더해 GLP-1 작용제의 부작용인 메스꺼움·구토·설사를 완화하는 '위 억제 펩타이드(GIP)' 작용제, 포만감 조절 및 지질대사 조절효과를 갖는 '글루카곤(GCG)' 작용제까지 결합한 3중 작용제를 완성했다.
업계에 따르면 노보노디스크의 '위고비'는 GLP-1 단일 작용, 일라이릴리의 '젭바운드'는 GLP-1와 GIP 2중 작용제로 알려져 있다. 한미약품의 HM15275는 한 단계 진화한 3중 작용제인 셈이다.
특히, HM15275의 체중 25% 감량 효과는 수술을 통한 체중 감량에 버금가는 효과로, 위고비는 임상 3상 시험에서 약 15%, 젭바운드는 약 21%의 체중 감량 효과가 확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세가지 약리작용을 적절히 결합하면 비만뿐 아니라 제2형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도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은 올해 약 150억달러(약 21조원)에서 오는 2030년 770억달러(약 106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미약품은 오는 2030년까지 HM15275를 상용화하고, 나아가 먹는 비만 치료제, 디지털 비만 치료제, 폭식 등 섭식장애를 개선할 수 있는 치료제도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업계는 한미약품이 경영권 분쟁과 상속세 납부 부담 속에서도 신약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경영권 분쟁이 한창이던 올해 1분기 총 467억원의 연구개발비를 지출, 전년동기 458억원보다 2.0% 늘렸다.
특히 지주사 한미사이언스는 최근 송영숙 회장과 임종윤·임주현·임종훈 3남매 등 오너 일가 4인이 합심해 상속세 현안을 해결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혀 갈등을 봉합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업계는 위고비의 성공에 자극받은 로슈 등 글로벌 제약사들이 비만 외에 당뇨병, 고혈압 등 질환까지 아우르는 다양한 2중, 3중 작용제 개발에 나서는 추세인 만큼 한미약품의 HM15275와 H.O.P 프로젝트 성공 여부에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