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다음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 본격화에 따른 성장의 하방 위험으로 한은이 깜짝 금리 인하에 나설 관측이 나온다. 하지만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데다, 달러 대비 원화 환율 또한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이는 만큼 금통위는 신중한 입장을 이어갈 가능성도 있다.
금통위는 오는 17일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2.75%에서 인하할지 동결할지 결정한다.
앞서 2월 금통위는 금리를 3.0%에서 2.75%로 0.25%포인트(p) 인하한 바 있다. 한은의 올해 경제 성장률 전망치가 1.9%에서 1.5%로 낮아질 만큼 경기가 좋지 않아 금리 인하를 통한 부양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한은은 금리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세계 모든 교역국을 대상으로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폭탄이 지난 9일 발효되면서 미국발 관세전쟁 위험이 더욱 고조된 상황이다. 여기에 중국은 '맞불관세'를 내놓으면서 무역 전쟁이 본격화하자 글로벌 증시는 폭락하고 원/달러 환율은 급등하면서 1500원 돌파 가능성도 제기됐었다.
로이터통신은 지난 9일 “최근까지만 해도 금리가 2분기와 3분기에 각각 0.25%포인트씩 인하될 것으로 전망됐지만 무역전쟁으로 공격적인 금리인하가 필요해졌다"고 보도한 바 있다.
강민주 ING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최근 보고서를 내고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1%에서 0.8%로 하향 조정하면서 이달 금리 인하를 예상했다. 보고서는 “1분기 성장률은 0.2%로 예상되지만 정치 공백으로 2분기 성장률엔 무게가 가해질 것"이라며 “모든 신호들이 한은의 정책완화를 가리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씨티리서치의 김진욱 이코노미스트도 최근 한은의 금리인하 시점을 5월에서 4월로 앞당기면서 “관세 충격이 성장과 인플레이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금리 인하 사이클이 빨라질 수 있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이어 내년 말까지 금리가 6차례에 걸쳐 1.25%로 인하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에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하기로 발표했다. 각국이 트럼프 행정부와 합의에 이를 가능성도 나오면서 글로벌 증시는 반등에 성공했고 원/달러 환율도 하락하면서 관세 충격이 어느정도 완화됐다.
특히 원/달러 환율이 주간 기준으로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던 만큼 금통위가 일단 금리를 동결한 뒤 상황을 지켜볼 가능성이 있다.
실제 첫 주간 거래일인 지난 7일 1462.0원에 시작한 원/달러 환율은 지난 9일 1487.48까지 급등, 작년 12월 27일 장중 최고가인 1486.7원을 넘어 금융위기인 2009년 3월 16일(1492.0원) 이후 약 16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유예 발표와 글로벌 투자자들의 달러 매도 심리가 확산하자 원/달러 환율은 12일 새벽 달러당 1421.00원으로 이번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미국 달러화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는 11일(현지시간) 99.89에 마감, 종가 기준 2023년 7월 18일(99.94) 이후 처음으로 100선을 밑돌았다. 프란체스코 페솔 ING 전략가는 “우리는 달러 신뢰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면서 “달러 폭락은 '셀 USA'의 바로미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정부의 '10조원 필수추경안'은 이르면 다음 주 윤곽을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9일 “실무적인 작업을 해 다음 주 최대한 빨리 제출할 생각"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부는 통상 대응 및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에 3조∼4조원, 서민ㆍ소상공인 지원에 3조∼4조원을 각각 투입하기로 하고 세부안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