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전지성

jjs@ekn.kr

전지성기자 기사모음




[이슈분석] 민주당, ‘월성1호기 조기 폐쇄’ 정재훈 전 한수원 사장 영입…“탈원전 회귀 아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12 06:29

더불어민주당, 에너지분과 위원장으로 영입
문재인 정부 한수원 사장 맡으며 월성1호기 조기폐쇄
정 위원장 “2019년부터 원전 필요하다는 주장 펴왔다”
“차기 정권 균형 있는 에너지믹스 꼭 실현해야 한다 생각”

1

▲정재훈 더불어민주당 미래성장전략위원회 에너지분과 위원장.

최근 더불어민주당이 정재훈 전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사장을 미래성장전략위원회 에너지분과 위원장으로 영입했다. 정 위원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한수원 사장으로 재직하며 월성원전 1호기 조기 폐쇄를 주도했었다. 이 때문에 민주당이 다시 탈원전 정책으로 회귀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하지만 정 위원장은 본지와의 취재에 “(한수원 임기) 후반부에는 원전 필요성을 강조했다. 탈원전 회귀는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정재훈 민주당 에너지분과 위원장은 11일 에너지경제와의 통화에서 “지난 두 정권(문재인, 윤석열 정부)을 거치면서 에너지 정책이 한쪽으로 치우쳤다. 그래서 저는 차기 정권에서는 균형 있는 에너지 믹스를 꼭 실현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며 “제가 영입된 이유도 그 때문으로 알고 있다. 앞으로 에너지산업이 일반 산업 경쟁력 지원과 경제 성장에 기여하면서도 탄소중립을 실현해야 한다. 그것을 위해서 미력하게나마 노력을 하겠다는 것이다. 탈원전을 한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소리"라고 말했다.


정 전 사장, 임기초 월성1호기 조기폐쇄 등 초반에는 탈원전, 후반기에는 원전 필요성 강조

정 위원장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9년 한수원 사장으로 취임해 월성1호기 조기폐쇄를 추진한 바 있다. 당시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따라 원전 수명연장도 막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정 위원장은 오해 부분이 있다고 해명했다. 그는 “당시 한수원은 월성1호기를 계속 가동하고 싶었다. 하지만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안전성 문제를 이유로 허용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정 위원장은 2019년 이후 오히려 원전, 특히 소형모듈원전(SMR)의 필요성을 꾸준히 강조했다고 한다. 그는 “한국이 에너지 안보와 탄소중립을 위해 원전을 활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펴왔다"며 “이집트와 체코 원전 수주 사업도 재임 기간 중 시작한 프로젝트"라고 말했다.




실제 그는 임기 후반기인 2021년 국정감사에서 “정부 정책이나 전력 수급 문제를 떠나서 원자력 생태계만 따져본다면 신한울 3·4호기 건설이 재개돼서 숨통이 트였으면 좋겠다는 개인적 바람을 갖고 있다"며 “원전 없이 탄소중립 달성은 가능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원전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민주당 “에너지 믹스 논의, 탈원전 재론 아냐"

민주당도 정 위원장 영입이 탈원전 정책을 뜻하는 게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민주당 관계자는 “정 위원장 영입이 탈원전 정책을 재개하는 것은 아니다. 원전을 포함한 에너지 정책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현재 민주당은 에너지 전환 정책을 놓고 재생에너지와 원전의 적절한 조합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의 이언주 민주당 의원은 올해 2월 전체회의에서 “민주당은 더이상 탈원전 기조를 유지하고 있지 않다"며 “우파 좌파 에너지가 따로 있을 수 없다. 우리나라는 섬처럼 돼 있어 에너지 자립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전 세계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서 SMR이라든지 MMR(10메가와트 이하 원자로), 더 나아가 핵융합 에너지 등 미래 전략산업의 육성을 위해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원전 산업계에서는 민주당의 정 위원장 영입이 원전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하고 있다. 특히 신한울원전 3·4호기 건설 재개 논의와 SMR 개발 지원 등 향후 정책 방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 위원장은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세계적 추세이니 거스를 수는 없지만 우리는 보완적으로 원자력과 액화천연가스(LNG)발전을 브리지 에너지원으로 가져갈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며 “이런 상황을 잘 반영해야 한다. 저에 대한 비판은 문재인 정부에서 일을 했었기 때문에 팩트와 무관하게 제가 감내해야 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