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한미약품, 경영권 분쟁에도 흔들림없는 ‘실적 행진’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7.31 16:36

한미약품 상반기 매출 11%·영업익 45% 성장

주력제품 매출 호조→R&D 투자 확대 ‘선순환’

경영권 갈등은 진행형…2차 ‘주총 표대결’ 예고

한미약품

▲한미약품 본사 전경

한미약품그룹이 오너일가 경영권 분쟁에도 실적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주력 신약 제품의 매출 성장과 연구개발 투자 확대가 선순환을 이루며 내실있는 성장을 다지고 있다.


지난 31일 한미약품그룹에 따르면, 그룹 주력사인 한미약품은 연결기준 올해 2분기 매출 3781억원, 영업이익 581억원을 올렸다고 같은 달 30일 공시했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10.3%, 영업이익은 75.3% 증가한 호실적으로 당초 증권가 전망치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올해 상반기 전체 매출도 7818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11.1% 성장했고 영업이익도 1348억원으로 44.8% 성장했다. 이로써 한미약품은 올해 역대 최대 매출 경신을 기대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도 2분기에 연결기준 매출 3091억원, 영업이익 266억원을 올린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2.0%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0.5% 증가에 그쳤지만 상반기 전체 실적을 보면 매출은 6293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7%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639억원으로 10.6% 성장했다.


한미약품의 호실적은 고지혈증 복합신약 '로수젯', 고혈압 복합제 '아모잘탄' 등 주력 개량·복합 신약들의 매출이 지속 성장한데 힘입은 결과로 풀이된다. 고마진 개량·복합 신약들의 처방·매출이 늘면서 순이익도 늘었다는게 한미약품의 설명이다.


한미약품 2024년 2분기 & 상반기 실적(연결기준)

한미약품 2024년 2분기 & 상반기 실적(연결기준)

▲괄호는 전년동기 대비 증감율. 자료=한미약품

한미사이언스 2024년 2분기  & 상반기 실적 (연결기준)

한미사이언스 2024년 2분기 & 상반기 실적 (연결기준)

▲괄호는 전년동기 대비 증감율. 자료=한미사이언스

오히려 한미약품은 국내 제약사 중 선도적으로 개량·복합신약 연구개발에 나서 '개량·복합신약 강자'로 자리잡은데 이어 '혁신신약' 개발에도 투자를 늘리고 있다는 점에서 향후 성장이 더 기대된다.


한미약품은 올해 상반기 연구개발(R&D)에 총 989억원을 지출,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연구개발 지출을 8.4% 늘렸다.


최근 차세대 3중작용 비만치료제 'HM15275'가 미국에서 임상 1상을 시작했으며 면역조절 항암신약 'HM16390'도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상 시험 승인을 받았다.


이밖에 대사이상 지방간염(MASH) 신약 '에포시페그트루타이드'와 '에피노페그듀타이드'도 임상을 지속, 임주현 한미사이언스 부회장이 추진해 온 비만∙대사 분야 혁신신약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다만, 오너일가의 경영권 분쟁이 '현재진행형'이라는 점은 여전히 변수로 남아있다.


앞서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에 뜻을 모은 송영숙 한미사이언스 회장·임주현 부회장 모녀와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난 7월 29일 정관 개정을 주요 안건으로 하는 한미사이언스 임시주총 소집을 청구했다.


그러나 다음날인 30일 차남 임종훈 한미사이언스 대표는 사전 논의가 없었다며 이에 반발하는 입장을 발표해 올해 초 OCI그룹과의 통합 논의 때와 같은 모녀-형제 대립구도가 재연되는 양상을 보였다.


업계는 개인 최대주주인 신동국 회장이 OCI그룹 통합 논의 때와 달리 형제 편에서 모녀 편으로 돌아섰지만 오너가 경영일선 퇴진과 전문경영인 체제 전환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우호지분은 아직 모녀측과 형제측 모두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만큼 앞으로 열릴 한미사이언스 임시주총에서 지난 3월 임시주총 때와 같은 양측의 표대결이 재연될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