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성 인도 스판덱스 공장
효성티앤씨가 주력 제품 스판덱스의 수익성 향상을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10년간 유지한 세계 시장점유율 1위도 수성한다는 목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효성티앤씨는 올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9826억원·영업이익 846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8%, 영업이익은 31.2% 증가했다.
섬유 부문은 매출 8218억원·영업이익 637억원을 달성했다. 스판덱스 및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PTMG)의 실적이 개선된 영향이다. PTMG는 스판덱스 등을 만드는 소재다.
효성티앤씨는 지난 7일 중국 닝샤법인에 1120억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결정하는 등 설비 증설을 진행 중이다. 앞서 958억원에 달하는 유상증자도 결의했다.
중국 내 중소업체들이 2015년 22곳에서 지난해 11곳으로 줄어들고, 닝샤에서 증설 중인 공장의 생산성이 높다는 점도 이같은 움직임에 힘을 싣고 있다. 현지 수요 부진에 대한 우려가 있으나,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의 상당 부분이 다른 지역으로 공급된다는 점도 언급된다.
김도현 SK증권 애널리스트는 “2분기까지 지속된 중국 외 지역 수요 개선세가 3분기에도 지속될 것"이라며 “특히 미국 의류 브랜드 재고가 낮은 레벨을 지속 중"이라고 설명했다.
효성티앤씨가 중국 증설을 마치고 내년말 베트남 공장 생산력 확대를 계획 중인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중국 수요는 현지 물량으로 대응하고, 베트남에서 나오는 제품을 중국 외 지역에 공급하겠다는 목표다.
한국·중국·인도·베트남·튀르키예·브라질에 생산거점을 보유한 것도 강점이다. 권역별 상황에 대해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고, 물류비 부담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총 1조원을 들여 베트남 남부에 바이오 부탄다이올(BDO) 공장도 짓는다. 세계 최초로 바이오 스판덱스 일관생산체제를 갖추기 위함이다. 미국 제노와 손잡고 화석연료 기반의 일반 제품 대비 이산화탄소(CO2)를 90% 이상 절감할 수 있는 기술도 접목한다.
BDO는 PTMG의 원료 등에 쓰이는 화학소재로, 바이오 BDO는 사탕수수·옥수수를 비롯한 식물자원에서 나오는 당을 발효시키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바리우붕따우성 공장에서 만든 바이오 BDO는 호치민 인근 동나이 공장에서 PTMG로 제조되고 동나이 스판덱스 공장을 거친다.
효성티앤씨는 2026년 상반기부터 연간 5만t 규모의 바이오 BDO를 생산·판매할 방침이다. 풀가동 시기가 앞당겨졌고,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시장 개화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저귀용 스판덱스 생산거점도 국내(구미)와 중국(자싱·주하이)에서 튀르키예와 인도로 확장한다. 생산력도 현재 7만3000t 수준에서 2026년 8만4000t로 높인다는 전략이다.
인도·유럽·중동·아프리카 수요가 늘어나는 상황을 활용하고, 물류비·관세 등 원가 절감으로 성과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효성티앤씨의 재고 부담(30일 이하)이 중국 업체들 20일 가량 보다 적고, 고부가 제품을 중심으로 판가도 높게 가져가고 있다"며 “하반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상반기를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