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군방첩사령부 로고
최근 군 정보당국에서 블랙요원 리스트가 유출되면서 대북 정보망 붕괴를 비롯한 안보불안이 가중되는 가운데 해양무인체계 비밀 자료가 방산업체로 빼돌려진 것인지에 대한 조사가 이뤄지는 것으로 전해졌다.
16일 군 관련 소식통에 따르면 국군방첩사령부(방첩사)는 지난 5월 해군사관학교를 압수수색했다. H모 교수(현역 대령)의 경우 해검-2 과제를 진행하면서 L사로 무인수상정(USV) 운용개념을 비롯한 기밀을 유출했다는 혐의로 피의자 조사를 받았다.
방첩사는 같은달 해당 업체의 USV 개발을 총괄하는 인력 등에 대한 압수수색도 실시했다. 6월에는 합동참보본부(합참)와 해검 관련 산·학 지원 인력도 조사대상에 포함됐다.
방첩사는 현재까지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 향후에는 경찰을 비롯한 다른 기관으로 이첩될 수 있다.
해군의 정찰용 USV 체계개발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앞두고 불거진 논란이라는 점도 특징이다. 특정 업체가 혜택을 입었다면 입찰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해군은 2027년까지 길이 12m급 USV 2척을 개발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총 사업비는 419억6400만원에 달한다. 현재는 국내 방산업체 2곳이 경쟁을 펼치고 있다.
USV는 기존 유인함정 대신 △위험구역 감시·정찰 △기뢰 탐색 및 제거 △전투를 포함한 임무를 수행 가능한 무기체계로 국내·외 기업들이 기술력 고도화를 위한 노력을 이어가는 분야다.
이번 수주전에서 성과를 거둔 업체는 트렉레코드를 앞세워 해외 진출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8억9400만달러 수준이었던 글로벌 USV 시장은 2033년 31억달러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감시·정찰 효율성과 장병 생존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한국형 차기구축함(KDDX)도 기술탈취 논란에 휩싸이는 등 군 기밀 유출이 부각되는 모양새"라며 “이같은 이슈는 수주전에 뛰어든 업체에 피해를 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K-방산 전체의 신뢰도를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