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9월 17일(화)
에너지경제 포토

윤동

dong01@ekn.kr

윤동기자 기사모음




[10대그룹 지배구조보고서]③ 포스코그룹, 지배구조 혁신 1위···포스코홀딩스 핵심지표 유일하게 만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8.26 15:05

지주사 체제 전환 직후 지배구조 혁신 고도화 인정

최정우 전 회장 3연임 도전도 지배구조 혁신에 영향

[편집자주] 국내 대기업들이 올해부터 개정된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새로운 지배구조보고서는 최근 정부의 제도 개선 사항과 G20·OECD 원칙 등 국내외 지배구조에 대한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은 새로운 지배구조보고서를 통해 국내 10대그룹의 지배구조 현황과 핵심지표 이행률 등을 짚어본다.


장인화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6월 1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글로벌 스틸 다이나믹스 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올해부터 새롭게 변경된 기준으로 공개된 기업지배구조보고서에서 국내 10그룹의 핵심지표 준수 이행률이 대부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4차 산업혁명 등으로 사업 구조의 혁신이 추진되면서 국내 대기업그룹 내부에서도 합병과 분할이 지속돼 지배구조 투명성이 흔들리고 있는 탓이다.


다른 10대 그룹이 흔들리고 있는 동안 포스코그룹은 지배구조를 크게 혁신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그룹의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는 국내 10대 그룹 상장사 중에서도 유일하게 기업지배구조보고서 핵심지표를 모두 준수한 것으로 나타난 점도 눈에 띈다. 2022년 지주사 체제 전환과 지난해 최정우 전 포스코그룹 회장의 사상 초유의 3연임 도전을 앞두고 지배구조 혁신을 고도화한 결과로 분석된다.


2022년 물적분할 당시 지배구조 고도화 목표 달성

26일 재계와 관련 당국에 따르면 최근 2년 동안 기업지배구조보고서를 공개한 10대 그룹 79개 상장사 중 2022년 3월 출범한 포스코홀딩스만이 유일하게 지배구조핵심지표를 100% 준수한 것으로 집계됐다. 포스코그룹이 지주사 설립 직후 지배구조 혁신 고도화를 입증한 셈이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2022년까지 지주사 체제 전환을 위해 기존 포스코를 지주회사인 포스코홀딩스와 사업회사인 포스코로 물적분할을 단행했다. 당시 포스코홀딩스의 본사와 연구소의 서울 이전을 놓고 포항시 지역사회와 갈등이 있었으나 결국 본사·연구소를 포함에 남기기로 결정하면서 출범을 마무리했다.




포스코는 그룹의 신규 사업 발굴 및 투자와 더불어 지배구조 혁신 고도화를 지주사 체제 전환의 명분으로 꼽았다. 철강 사업에 얽매이지 않고 신규 사업을 발굴·투자하는 동시에 철강회사인 포스코가 달성할 수 없는 지배구조 혁신을 달성하겠다는 목표였다.


그 결과 탄생한 포스코홀딩스는 출범 직후 지배구조 혁신성을 점검하는 지배구조핵심지표를 100% 준수하는데 성공하면서 물적분할 당시의 목표를 일부 달성했다.


기업지배구조보고서는 상장사의 지배구조에 대한 정보를 주주 등 관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도입됐다. 지난 2019년부터는 자산 총액 1조원 이상, 올해부터는 5000억원 이상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에 한해 공개가 의무화됐다.


계열사 중 포스코홀딩스만 지배구조가 개선된 것은 아니다. 포스코그룹의 15개 상장 계열사가 지배구조핵심지표로 제시된 15개 질문에 대해 제대로 이행하고 있다고 답변한 것을 비율화하면 지난해 준수율은 78.33%로 집계됐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2022년 75%로 4위에 그쳤으나 포스코홀딩스를 중심으로 지배구조를 혁신한 결과 신세계그룹과 함께 공동 1위를 차지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지난해 10대 그룹 중 과반수(6개 그룹)가 2022년 대비 지배구조 혁신성이 다소 후퇴한 것으로 집계됐으나 포스코그룹은 오히려 이행률을 개선하는데 성공한 점이 눈에 띈다. 실제 10대 그룹 상장사의 준수 이행률 평균치는 2022년 74.6%에서 지난해 70.8%로 3.8%p 떨어졌다.


최대주주 국민연금·최정우 전 회장 3연임도 긍정적 영향

최정우 포스코홀딩스 출범식

▲최정우 전 포스코그룹 회장이 2022년 3월 2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포스코홀딩스 사기(社旗)를 흔들고 있다.

포스코그룹이 지난해 유독 지배구조 혁신에 신경을 쓴 것은 물적분할 이외에도 다른 요인이 있는 것으로 진단된다. 우선 다른 그룹과 달리 정부의 지침에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사정 때문으로 분석된다.


다른 10대 그룹은 지배구조 최상단에 위치한 총수가 있는 반면 포스코그룹은 국민연금공단(지분율 6.87%)이 2007년부터 최대주주로 자리매김해 있다. 국민연금공단도 정부의 영향을 받는 기관이기에 포스코는 다른 10대 그룹보다 정부의 영향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아울러 지난해 포스코그룹 회장 교체 시기에 지배구조 혁신에 더욱 신경을 썼다는 분석도 나온다. 최정우 전 포스코그룹의 회장의 임기가 만료되는 올해 3월 이전부터 차기 회장에 대한 하마평이 진행된 결과다.


최 전 회장은 지난 2018년부터 올해 초까지 6년여 기간 동안 포스코그룹을 이끌어왔다. 그는 포스코그룹 역사상 최초로 3연임을 가시권에 두기도 했다. 올해 1월 포스코의 최고경영자(CEO)추천위원회가 최 전 회장이 제외된 회장 후보자 8인을 승인하면서 3연임이 무산되기는 했으나 3연임 준비를 위해서 특히 기업의 지배구조 등을 철저히 고도화한 것이라는 진단이 나온다.


산업권에서는 올해 3월 취임한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이 이 같은 지배구조 혁신 작업을 이어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장 회장은 취임 직후 '거버넌스 혁신TF'를 출범해 이사회의 독립성을 강화하고 CEO 후보군의 체계적 육성 프로그램을 만들어 국내 및 글로벌 기업의 롤모델이 되겠다고 지배구조 개선 목표를 밝히기도 했다.


재계 관계자는 “2022년과 지난해 물적분할과 신규 회장 선임 등 포스코그룹에 대형 사건이 많았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포스코홀딩스가 지주사 체제 전환 이후 자신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서 더욱 지배구조 등을 철저히 고도화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