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바이오매스 업계, 산림청 ‘벌채 논란’ 불똥에 곤혹…"우린 부산물 활용"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6.09 15:40

원목 중 미이용목으로 사용되는 비중 3.8%…버려진 원목 활용



계속되는 미이용목 친환경성 논란…REC 가중치 하락 요구도

2021060901000412200016961

▲미이용산림바이오매스의 모습. 산림청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산림청 벌채(나무를 베어내는 일) 정책 논란의 불똥이 신재생에너지인 산림바이오매스로 튀면서 관련 업계가 곤혹스러운 처지에 놓였다.

산림청이 탄소중립 정책의 일환으로 벌채 확대와 산림바이오매스 활용을 동시에 발표한 게 화근이었다. 산림바이오매스는 벌채와 상관 없는데 벌채 확대에 대한 비판을 산림바이오매스업계가 함께 받고 있다. 벌채 확대로 산림을 파괴해서 생산한 원목을 발전용인 산림바이오매스에 사용한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산림바이오매스업계는 국내 산림바이오매스 활용 자원인 미(未)이용산림바이오매스(미이용목)의 경우 산림청이 추진하는 벌채 확대 정책으로 나오는 원목을 활용할 수 없다며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미이용목은 산림청 규정에 따라 규격에 미치지 않아 사용되지 못하는 원목이나 부산물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논란이 가중되자 산림청은 해명자료를 내고 민관협의체를 통해 정책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 지난해 국내 목재수급 현황.산림청 (단위 :1000㎥)

구분원목(%)부산물(%)합계
제재용564
(13.9)
-564
펄프용904
(22.4)
-904
보드용1,239
(30.6)
-1,239
바이오매스용155
(3.8)
398
(100)
553
기타1,187
(29.3)
-1,187
합계4,049
(100)
398
(100)
4,447
◇ 원목 중 미이용목으로 사용되는 비중 3.8%…버려진 원목 활용

9일 산림바이오매스 업계에 따르면 산림청의 오래된 나무 3억 그루를 베는 벌채 정책이 마치 발전용 원목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비쳐지고 있다.

바이오매스 업계 관계자는 "미이용목으로 사용되는 원목은 산림청 규정에 따라 규격에 맞지 않아 버려지는 원목을 사용하는데 마치 대규모 원목을 바이오매스로 사용되는 것처럼 비판받고 있다"며 "전체 수집된 원목 중 약 3% 정도만 사용되고 주로 산림에 방치된 부산물을 활용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산림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수집된 국산 원목 404만9000㎥ 중 미이용목으로 사용된 원목은 3.8%(15만5000㎥)이다. 미이용목으로 사용되는 전체 목재량은 55만3000㎥로 이중 부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72.0%(39만8000㎥)다.

산림청 규정에 따르면 미이용목은 △수확, 수종갱신 및 산지개발을 위한 벌채를 통해 나온 원목생산에 이용되지 않는 부산물 △숲가꾸기를 위한 벌채를 통해 나온 산물 △산림병해충 피해목 제거 등 방제 과정에서 나온 벌채 산물 △가로수의 조성·관리를 위한 벌채 및 가지치기 과정에서 나온 산물 △산불 피해목으로 원목생산에 이용되지 않은 산물로 규정돼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미이용목에 사용할 수 있는 원목은 범위가 엄격히 규정돼 버려졌던 목재를 사용한다"며 "벌목량이 늘어난다고 해서 해당 원목을 발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 계속되는 미이용목 친환경성 논란…REC 가중치 인하 요구도

산림청은 국내 벌채방식과 벌기령 단축, 산림바이오매스의 발전연료 이용 비중 과다 등에 문제가 계속 제기되자 민관협의체를 통해 원점부터 정책을 재검토하겠다고 지난 3일 밝혔었다.

산림청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위해 수령 30년 안팎인 나무 3억 그루를 베어 30억 그루의 어린 나무를 심고 나무를 벨 수 있도록 정해진 기간인 벌기령 단축을 고려하겠다고 지난 1월 발표했었다. 또한 산림바이오매스 확대로 목표 탄소배출 감축량을 520만 톤으로 잡았다.

하지만 환경단체들은 멀쩡한 나무를 대규모로 벌목해 산림 파괴를 일으킨다며 산림청의 벌목정책을 비판했다. 대규모로 벌목한 원목을 탄소를 배출하는 에너지원인 산림바이오매스에 활용 한다고 함께 지적했다.

지난 7일 산림바이오매스인 미이용목 친환경성의 계속 논란되자 산림과학원 미이용목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탄소중립 에너지원이라고 해명자료를 내기도 했다.

기후솔루션은 산림과학원 해명에 당시 곧바로 반박자료를 냈다.

기후솔루션은 "나무를 태우는 것은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측면에서 석탄을 태우는 것과 다를 바 없으며, 대체 조림을 통한 탄소중립에는 수십 년에서 백 년까지 걸린다"며 "미이용목을 비롯한 모든 전소, 혼소 바이오매스 발전소에 제공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하향 조정하거나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림바이오매스는 현재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돼 전력을 생산할 시 REC를 발급받는다. 특히 미이용목은 정부가 육성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혼소발전은 가중치 1.5를 전소발전은 가중치 2.0을 부여했다. 가중치가 2.0이면 가중치가 1.0인 신재생에너지발전소보다 REC가 두 배 더 발급된다.

wonhee4544@ekn.kr

33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