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횡성=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김명기 횡성군수는 “향후 지역의 다양한 자산을 활용해 창출한 이익을 주민에게 기본소득으로 환원하는 순환형 경제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김 군수는 26일 오전 기자회견을 갖고 횡성형 기본소득 구상안를 밝히며 이같이 말했다. 지속가능도시 1위라는 자부심을 바탕으로 중앙정부 지원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주재원을 기반으로 한 자체 자립형 기본소득 모델 '행복소득'을 추진하겠다고 김 군수가 팔을 걷어붙였다. 횡성군은 2030년까지 군민 1인당 월 20만원 기본소득 보장을 목표로 하는 지역순환형 경제체계 구축에 나서며, 지방소멸 시대 새로운 활로를 제시하고 있다. 횡성군은 고령화율 38%, 노인빈곤률 57%, 연간 출생아 100명 미만이라는 절박한 인구·경제 현실 속에서도 지난해 전국 군 단위 '지속가능도시 1위'에 선정되며 강한 저력을 입증했다. 하지만 정부의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선정에서는 아쉽게 탈락하면서, 군은 “정부 의존을 넘어서 스스로 길을 개척해야 한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김 군수는 “지방소멸 위기 극복은 기다림이 아니라 실행의 문제"라며 “지역이 가진 자원을 군민의 기본소득으로 환원하는 순환경제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군은 기본소득 재원의 핵심으로 마을 단위 에너지 수익 구조를 제시했다. 대표적인 첫 번째 실증 모델로 공군면 덕촌리에서 추진 중인 '주민참여형 태양광 발전 수익 배분 모델'을 주요 사례로 제시했다. 덕촌리는 마을 유휴부지와 농촌형 태양광을 활용해 생산된 전기를 판매하고 발생한 전력 판매 수익을 주민에게 직접 배당하는 지역순환형 에너지경제 구조를 만들고 있다. 군은 우선 연간 약 200억 원 규모로 사업을 시작하고, 2030년에는 월 20만 원 기본소득 지급을 실현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태양광 발전단지 △마을별 태양광 발전소 △가축분뇨·음식물 슬러지 활용 통합바이오가스 △폐비닐 자원화 공공열분해시설 등 지역의 유휴자원·폐자원을 활용한 에너지 수익 기반 사업을 확대해 안정적 재원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군은 향후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약 300억 원을 씨드머니로 활용해 SPC 또는 협동조합 설립을 검토하고, '기본소득위원회' 설치, '행복소득 TF' 구성 등 제도적 기반도 단계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경제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해 필요 시 즉각 민생회복지원금을 투입할 수 있는 조례 제정도 추진한다. 김 군수는 “행복소득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지속가능도시 횡성의 미래전략이자, 지역 자산을 군민에게 되돌리는 새로운 경제 시스템의 출발"이라며 “실패를 거울삼아 더욱 철저히 준비해 '횡성형 기본소득'의 꽃을 반드시 피우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우리가 사랑하며 살아가는 횡성의 이름이 더욱 빛날 수 있도록, 횡성발전을 향한 오늘의 걸음을 멈추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김 군수는 이날 2026년도 예산안을 역대 최대 규모인 6778억 원으로 편성했다며 '2026년 일반 및 특별회계 예산안'을 발표했다. 2025년 6014억 원 대비 12.7% 증가한 규모로, 미래 성장산업 육성·지방소멸 대응·포용복지·농축산 생명산업·문화관광·안전 인프라 등 6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내년도 군정을 강력히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일반회계는 6045억 원으로 전년 대비 11.1% 증가했고, 특별회계는 733억 원으로 28.3% 늘어 모든 회계를 합쳐 역대 가장 큰 예산 규모를 형성했다. 김명기 횡성군수는 “군민이 맡겨주신 예산을 가장 필요한 곳에 효율적으로 투입해 성과를 내겠다"며 “사업 추진 과정에서 누락이 없도록 면밀히 살피고, 시기별로 필요한 추가 예산도 책임 있게 편성하겠다"고 밝혔다. 김 군수는 “세외수입 감소와 불확실한 세수 여건 속에서도 지방교부세·국도비 확보를 통해 역대 최대 예산을 마련했다"며 “변화와 도전이 동시에 찾아올 2026년, 선택과 집중의 원칙으로 '성과내는 예산'을 구성했다"고 강조했다. 2026년 예산은 횡성군이 설정한 6대 군정 핵심방향을 중심으로 편성됐다. 횡성군은 2026년 △미래자동차 클러스터 완성 △지방소멸 대응 맞춤형 지원 △사람 중심 포용 복지 △농․축산 생명산업 지원 확대 △365일 문화와 관광이 흐르는 도시 △안전하고 편안한 안전횡성 조성 등 군정을 6대 핵심과제로 나눠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김명기 군수는 “지난 4년간 군민과 약속한 공약사업을 마무리하고, 횡성의 미래 기반을 다지는 것이 2026년 예산의 핵심"이라며 “미래 먹거리 산업과 민생경제, 복지를 균형 있게 챙기는 예산으로 군민의 삶을 확실히 바꾸겠다"고 말했다. 이어 “역대 최대 6778억 원 예산은 추진 과정을 면밀히 검토해 가장 필요한 곳에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을 약속한다"며 “또한 사업별 추진 시기에 맞춰 예산을 추가 편성해 누락되는 사업이 없도록 세심하게 살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에스더 기자 ess003@ekn.kr
![[E-로컬뉴스] 원주시 소식](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68aeced813d04eceb3332ebdca81c1f0_T1.png)

![[E-로컬뉴스] 북부지방산림청, 홍천국유림관리소, 한국도로교통공단 소식 등](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8ee390c14a134e9e821f538839a04ce1_T1.png)



![[E-로컬뉴스]국립강릉원주대, 연세대 미래캠퍼스, 원주시 미래산업진흥원 소식](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4.97eb64164eeb484aab91f6f79780a582_T1.png)



![핀테크 ‘AI 대전’…‘손바닥 위’ 펼쳐질 미래형 혁신서비스는 [현장+]](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859cbd9580cf401ea8db05be28aa7586_T1.png)







![[EE칼럼] 데이터센터 논쟁, 전력수요만으로 설명할 수 없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2cc8189f478749e4a78608eb1c336580_T1.jpg)
![[EE칼럼] 한중 해저 수소 파이프라인 구상이 필요하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1.6ca4afd8aac54bca9fc807e60a5d18b0_T1.jpg)

![[이슈&인사이트] 한국 AI에 대한 단상](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18.a08eb2bb1b6148bdbbc5277847497cdf_T1.jpg)
![[데스크 칼럼] 차기 서울시장의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14cf6ac622f04bbb8d92ca6558291437_T1.jpg)
![[기자의 눈] 오세훈 시장의 ‘편의적 속도전’](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5bd8f437407c4ff1aa2af580c79874af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