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효성첨단소재가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주력 제품을 앞세워 실적 반등을 모색하고 있다.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성장성이 한풀 꺾인 품목도 재정비, 수익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21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HS효성첨단소재의 지난해 4분기 예상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8265억원·401억원이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7.6%, 영업이익은 92.8% 높다. 그러나 영업이익 증가율이 100%를 넘는 등 이를 상회하는 실적을 거뒀을 것이라는 분석이 연달아 나오고 있다. 타이어보강재(타이어코드)가 계절적 비수기에 진입했음에도 탑티어 고객사향 출하량이 늘어나면서 전체 판매량을 뒷받침하고, 판매단가(ASP)도 높아졌다는 논리다. 겨울철용(윈터) 타이어 수요도 실적에 기여한 요소로 꼽힌다. HS효성첨단소재는 글로벌 폴리에스테르(PET) 타이어코드 시장에서 50%에 달하는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전기차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도 입고 있다. SNE리서치는 지난해 1~11월 글로벌 전기차 인도량이 약 1559만대로, 전년 동기 대비 25.9% 성장했다고 분석했다. 내연기관 차량 보다 무거운 전기차는 마모를 줄일 수 있도록 더 많은 타이어코드가 들어간 타이어를 쓴다. 반면, 일명 '슈퍼섬유'로 불리는 탄소섬유와 아라미드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김도현 SK증권 애널리스트는 중국법인 생산조정 등 운영효율화로 적자 폭이 축소됐음에도 판가 하락이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수소경제 성장이 예상을 밑도는 가운데 중국 업체들의 대규모 증설이 이어진 탓에 공급과잉 구간에 진입한 탓이다. 실제로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증가세를 보였던 탄소섬유·아라미드 수출량이 감소했고, 2023년 하반기부터 판가 하락도 본격화됐다. 수소차 시장이 축소되는 것도 악재다. 탄소섬유는 수소 연료탱크 생산비의 75%를 차지하는 등 수소차의 핵심소재로 꼽힌다. 정부도 승용차 보다는 상용차 쪽에 초점을 두는 모양새다. 신차 출시 계획이 공격적이지 않고, 인프라도 부족해 친환경차 시장 내 입지가 좁아진 까닭으로 풀이된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1~9월 글로벌 수소차 등록대수는 9946대로, 전년 동기 대비 17.4% 감소했다. 2017년 4280대였던 수소차 등록대수는 2022년 2만대를 넘겼으나, 2023년 1만6413대로 축소됐다. HS효성첨단소재는 올해 베트남 탄소섬유 공장 3곳을 순차적으로 가동하면서 실적을 끌어올린다는 방침이다. 하반기 흑자전환에 성공할 것이라는 기대도 받고 있다. 베트남 공장은 국내와 중국 보다 수익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내 물량과 판매처가 같아 중국 내수 물량 보다 가격대가 높지만, 생산 원가는 낮기 때문이다. 전유진 iM증권 애널리스트는 “이익률은 베트남>국내>중국 순서로 추정된다"며 “올 하반기부터 국내·베트남 공장 가동 효과가 일부 반영되면서 중국법인의 대규모 적자를 상쇄시키겠고, 뚜렷한 수익성 개선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