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트롤] 광명시-김포시-부천시-양평군-의왕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5c923ab104624fb782aea730c16d7392_T1.jpg)
광명=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광명시는 25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AI 광명 추진 계획 수립' 중간보고회를 열고 그동안 추진했던 공무원과 시민 대상 설문조사-인터뷰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향후 계획에 반영할 전략과 과제를 논의했다. AI 광명 추진 계획은 국정과제인 'AI 3대 강국 도약'에 발맞춰 광명 특성에 맞춘 AI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활용 전략과 단계별 추진 로드맵을 마련해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 만족도 혁신이 목적이다. 지난 9월 계획 수립을 시작해 10월 중 7일간 공무원 82명, 광명시민 29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자동화된 행정 △증거 기반 정책 △간소화된 절차 △신뢰할 수 있는 행정 △포용적 서비스 △적응형 조직 등 계획에 반영할 전략을 6개로 좁혔다. 공무원 설문조사에선 문서 작성-검토(28.3%), 자료 수집-검색(22.5%), 단순 데이터 입력(19.6%) 등 반복적-비효율 업무가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광명시는 AI 기반 문서 자동 작성, 데이터 검색-정리 자동화 등으로 공무원 업무 부담을 줄이고 '자동화된 행정'을 실현할 계획이다. 또한 축적된 데이터를 분석해 정책 근거를 강화하는 '증거기반 정책' 추진을 주요 전략으로 삼았다. 시민 조사 결과, 행정서비스 이용 시 느낀 불편 사항으로는 대기시간(26.8%)이 가장 많고, 이어 정보 부족(24.1%), 절차 복잡성(22.9%), 접근성 문제(18.8%) 순으로 나타났다. 광명시는 이 4가지를 시민 관점의 핵심 개선 과제로 삼고, 민원 대기 예측-분산 시스템, AI 기반 안내 서비스, 절차 자동화 등을 통해 '간소화된 절차'를 구축할 계획이다. AI 기술 도입이 가장 필요하다고 느끼는 분야는 안전-재난, 교통-주차, 민원-서류 발급 순으로 조사됐다. 광명시는 이를 1차 우선 도입 분야로 설정해 관련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한편 시민은 AI 도입 시 우려되는 점으로 개인정보 유출(29.7%), 디지털 격차(28.7%) 등을 꼽았다. 이런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광명시는 고령자-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친화적 서비스, 다국어 통역 서비스 등 '포용적 서비스'를 강화하고, AI 윤리 가이드라인 마련과 보안-익명화 강화로 '신뢰할 수 있는 행정'을 구축할 방침이다. 또한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환경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공무원 대상 AI 역량 교육, 전문인력 양성, 부서 간 협업체계 마련 등을 통해 '적응형 조직'을 만드는 데도 집중한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AI는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이 체감하는 서비스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핵심 도구"라며 “공무원과 시민 의견을 기반으로 광명형 AI 행정 모델을 만들어 누구나 기술 편의를 누릴 수 있는 스마트 행정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추가 연구를 거쳐 전략과 실천과제를 확정해 오는 12월 계획 수립을 완료하고 내년부터 계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과제를 이행할 방침이다. 김포=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사계절 내내 특별한 이벤트가 열리는 애기봉평화생태공원에서 오는 29일 특별문화행사 'PEACEFUL애기봉'이 개최된다. 김포시는 이번 행사를 통해 '평화의 소' 전시 기념식을 열어 역사적 사건을 바탕으로 기억을 문화로 승화하고 한반도 평화를 시민과 함께 되새긴다. 시민은 전시관에 들러 '평화의 소' 유골함에 헌화하거나 메시지를 작성할 수 있으며, QR코드를 통해 사건 관련 디지털 기록도 열람할 수 있다. '평화의 소'는 1997년 1월 한강하구 유도에서 해병대에 의해 구조된 북한 출신 소로, 분단의 아픔과 평화-통일 염원을 상징하는 존재로 알려져 있다. 1996년 여름 홍수에 휩쓸려 남하한 이 소는 겨우내 굶주리고 지뢰로 인해 발목까지 다친 상태에서 발견됐다. 이후 '평화의 소'로 명명돼 제주도 출신 '통일염원의 소'와 짝을 이뤄 7마리 새끼를 낳으며 남북 화해 상징으로 회자됐다. 이 '평화의 소' 유골함은 그동안 김포시 통진두레문화센터에서 보관돼 왔으며, 이번 기념전시를 계기로 구조 당시 현장이 내려다보이는 애기봉평화생태공원으로 옮겨져 그 역사적 순간을 더욱 생생하게 되새길 수 있게 됐다. '평화의 소' 기념식 외에도 같은 날 진행되는 백일장 시상식은 '애기봉평화생태공원과 한강하구, 조강의 미래'를 주제로 진행된 공모전 수상작을 발표한다. 160여명이 참가했던 백일장에서 총 18점 우수작을 선정해 시상할 예정이며, 김포문화재단은 우수작을 포함한 일부 작품을 전시해 조강과 김포시 미래 비전을 시민과 공유할 계획이다. 이날 시민에게 색다른 힐링을 제공하는 '멍때리기 대회'도 열린다. 참가자는 지정된 공간에서 아무런 활동 없이 오롯이 쉼에 집중하며 자연을 감상하는 방식으로, 규칙 위반 없이 오래 버티는 이에게 소정의 기념품도 수여 된다. 대회가 끝난 뒤 이어지는 '멍때리기 쉼터'에서 국악 앙상블의 잔잔한 선율과 함께 조강 너머 북한을 바라보며 조용한 사색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해질 무렵에는 가을 하늘 아래 붉게 물든 노을이 펼쳐져 시민에게 하루 끝자락에서 특별한 쉼을 선사할 전망이다. 김포시 관광진흥과장은 26일 “이번 특별문화행사는 애기봉의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평온한 하루를 보낼 수 있도록 다채로운 행사로 구성했다"며 “시민은 많은 관심을 갖고 적극 참여해 달라"고 말했다. 부천=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조용익 부천시장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을 만나 부천시 정책-안전-재정 분야 핵심 현안을 설명하고 원활한 추진을 위한 전방위적 지원을 요청했다. 이날 조용익 시장은 △부천시정연구원 설립 허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 △보건복지 분야 사회복무요원사업 지방이양 철회를 주요 안건으로 전달했다. 먼저 조용익 시장은 “부천은 부천대장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과 부천종합운동장 일대 역세권 융복합 개발, 광역철도사업 등 도시 대전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지역 특성에 맞는 정책 연구와 체계적인 분석을 위해 시정연구원 설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정연구원 설립은 정책 전문성과 실행력을 높이고 도시 경쟁력 강화와 시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인 만큼 조속한 허가를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또한 사유시설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개정 필요성'을 제기했다. 조용익 시장은 “빌라-상가 등 소규모 사유 시설의 경우 긴급 안전점검 결과 정밀안전진단이 필요하더라도 소유자의 경제적 부담으로 조치가 이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법령에 사유 시설에 대한 행정대집행 근거를 명확히 규정하고, 실효성 있는 안전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와 함께 “사회복무요원 인건비가 병장 기준 월 150만원으로 인상된 가운데 2027년부터 국비 지원이 중단되면 지방 재정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안정적인 복지서비스 유지와 지방 재정 운영을 위해 현행 수준 국비 지원을 유지해달라"고 요청했다. 조용익 시장은 “도시 경쟁력 강화와 시민 안전, 미래 성장 기반 조성을 위해 꼭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건의했다"며 “국민참여정부와 더욱 긴밀하게 소통하고 협력해 부천의 핵심 사업을 중단없이 성공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양평=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양평군이 보건복지부 주관 '2025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지자체 평가'에서 우수상(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이번 평가는 전국 229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노인맞춤 돌봄 서비스 확대를 위한 대상자-종사자-예산 등 운영 관리 노력 △예방적 돌봄체계 구축 위한 유관기관 네트워크 및 사례관리 협의체 운영 등 서비스 관리 수준 △사업 계획 타당성과 추진 실적 △수행기관 및 인력 운영 등 사업 관리 전반에 대해 종합적으로 실시됐다. 양평군은 대상 1개, 최우수상 2개, 우수상 5개 지자체 중 하나로 이름을 올리며 지역 돌봄정책 우수성과 체계성을 인정받았다. 전진선 양평군수는 26일 “이번 우수상 수상은 양평군이 지속 추진해 온 돌봄 서비스의 품질 향상과 지역사회 돌봄체계 강화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결과"라며 “앞으로도 어르신이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맞춤형 돌봄체계를 더욱 공고히 다지겠다"고 말했다. 한편 양평군은 지역 특성에 맞는 맞춤형 돌봄체계를 구축하고, 독거-고령-취약계층 노인을 위한 다양한 안전 확인, 건강지원, 일상생활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안정적인 지역 돌봄망을 갖춰가고 있다. 의왕=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의왕향토사료관이 24일 특별전 '풍류-고상하고 멋스럽게 노는' 개전식을 가졌다. 이날 개전식은 안치권 의왕시 부시장을 비롯해 전시회 기획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으며, 참석자는 전시 유물 뜻과 의미를 꼼꼼히 살펴보며 앞으로 1년간 진행될 특별전 성공적인 운영을 희구했다. 의왕향토사료관은 2007년 개관한 이래 매년 다른 주제로 특별전시를 개최해 왔다. 올해로 20번째를 맞는 특별전 주제는 '조선시대 선비의 풍류생활'이다. 조선시대 통치 이념이던 성리학을 바탕으로 새롭게 등장한 사대부 계층은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실천하며 성인군자가 되는 것을 인생 목표로 삼았다. 아울러 시(詩: 시 짓기)-서(書: 독서)-화(畵: 그림그리기)-금(琴: 거문고 연주)을 즐기며 학문과 예술을 하나로 아우르는 삶을 추구했다. 이번 특별전에선 향토사료관이 소장하고 있는 유물 중 품산 김직연이 친구들과 피서하며 지은 시들을 모은 , 집 안에 있으면서도 상상 속 중국을 여행하는 '와유(臥遊)' 놀이를 담은 와 그 결과물인 , 70대에도 여전히 예술적 기량을 보여주는 등 40여점이 전시된다. 이번 전시에서 관람객은 선비들이 혼자서, 친한 벗들과, 나이가 들어서도 고상하고 멋스럽게 일상을 즐겼던 흔적을 자연스럽게 느껴볼 수 있다. 특히 여가 시간조차 스스로 몸과 마음을 갈고 닦는 기회로 삼았던 선조들의 삶을 떠올리며, 그들의 하루와 일평생은 어떠했을지 상상해 보는 특별한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안치권 부시장은 “의왕향토사료관은 우리 역사와 문화를 시민에게 널리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의왕향토사료관이 지역 정체성과 우리 역사 가치를 깊이 공유하는 공간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전시는 내년 11월까지 관람할 수 있으며, 세부 사항은 의왕향토사료관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강근주 기자 kkjoo0912@ekn.kr




![[패트롤] 남양주시의회-의왕시의회-의정부시의회-하남시의회](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63cd9ab2f2894281b1e43d1c99a3c9b6_T1.jpg)
![[패트롤] 구리시-남양주시-양주시-파주시-포천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1d3972a90ff64c26af18258e07b01546_T1.jpg)
![[패트롤] 고양시의회-남양주시의회-의정부시의회-하남시의회](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5.8c261cf82d1e46808eb9dfabffc8d2c9_T1.jpg)
![[패트롤] 고양시-남양주시-동두천시-양주시-의정부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5.e22cd1fcc3d8403f9936c64c3956733b_T1.jpg)




![[인터뷰] “서울도 SMR 가능하다” 수도 헬싱키에 난방용 SMR 도입 나선 핀란드](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5.c5bfd504a96c483581255d52a5c61b52_T1.jpg)
![[특징주] ‘인적분할’ 삼양바이오팜, 3거래일 연속 강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6.d9874e53161b4b54b8ff10bf2fbf5194_T1.png)


![[크레딧첵] 한화, 몸집은 커졌지만 내실은 후퇴…방산·조선 어깨 무겁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51126.7ea68b5c190b497d87f786101d73a3df_T1.jpg)


![[EE칼럼] 한중 해저 수소 파이프라인 구상이 필요하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1.6ca4afd8aac54bca9fc807e60a5d18b0_T1.jpg)
![[김성우 시평] 탄소규제 강화와 기업의 고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24.49bb7f903a5147c4bf86c08e13851edc_T1.jpg)

![[이슈&인사이트] 어디 비교할 데가 없어서 직전 정부 따위와…](http://www.ekn.kr/mnt/thum/202511/news-a.v1.20241109.b66efaf66a144273bc45695d05163e00_T1.jpg)
![[데스크 칼럼] 차기 서울시장의 조건](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14cf6ac622f04bbb8d92ca6558291437_T1.jpg)
![[기자의 눈] 항공업계 ‘엄격한 아버지’ 국토부의 빈자리…반쪽짜리 ‘공정 문화’ 우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23.2f3910233d5f4cfbb66a59c952f09a6c_T1.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