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번째 매각 시도에 나선 MG손해보험의 인수전에 세 곳이 참여한 것으로 알려지자 분위기가 반전됐다. 연거푸 고배를 마셔 온 MG손보 인수에 나선 후보자들을 둘러싸고 다양한 시각이 제기된다.
“분위기 바뀌었다"...메리츠화재 등판에 MG손보 매각 새국면
11일 보험업계와 예금보험공사 등에 따르면 매각 주관사인 삼정KPMG가 지난 8일 오후 3시까지 재입찰을 진행한 결과 앞선 예비 입찰에 참여했던 국내 사모펀드(PEF) 데일리파트너스와 미국계 PEF JC플라워가 접수했다. 특히 이번 입찰엔 국내보험사 메리츠화재가 인수 의사를 밝히며 깜짝 등판했다.
예보는 금융위원회로부터 위탁받아 MG손보 공개매각을 진행 중이다. 지난해 1월 MG손보 1차 입찰 공고를 통해 공개 매각을 진행했지만 입찰자가 없어 유찰됐고, 같은 해 8월 2차 매각 시기에도 한 곳에서만 인수의향서가 접수돼 복수원매자 입찰 원칙에 의해 무산됐다. 올해 세 번째 매각에 나섰지만 지난달 진행한 본입찰에 아무도 응하지 않아 무산된 바 있다.
우선 메리츠화재 등장으로 인해 부진하던 MG손보 매각에 탄력이 붙은데다 실제 딜 성사 가능성 또한 높아졌단 게 업계 중론이다.
두 PEF의 경우 지난 매각에서 예비입찰에 참여했다가 본입찰에선 나서지 않았다. 이번 매각에서 두 곳 모두 나란히 인수의향을 밝힌 것을 두고 지난 본입찰에 상대가 나서지 않은점에서 어느정도 가능성을 봤거나 의욕이 고취됐을 수 있단 평가다.
데일리파트너스는 바이오·헬스케어 전문 투자사로 MG손보 인수를 통해 금융업 영역 확장을 꾀하고 있다. JC플라워는 지난 2016년 HK저축은행을 인수한 뒤 매각한 이력이 있고 지난해 ABL생명 인수전에도 참여한 바 있어 금융업 경영에 대한 이해와 의지가 높은 편으로 평가된다.
특히 메리츠화재 참여로 경쟁에 더 불이 붙었다. 메리츠화재는 MG손보의 '부실' 꼬리표를 불식시킬 만한 자금력이 있는데다 공격적인 조직 쇄신 이력이 있어 경영정상화에 대한 의지가 강한 회사로 평가된다.
환경적 측면에서도 이번 매각이 자산부채이전(P&A) 방식을 취할 수 있는데다 예보의 최대 4000억원 자금지원 카드가 더해져 인수자에게 유리한 조건이 추가된 상태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두 PEF에 더해 메리츠화재까지 들어오면서 탄력받은 건 사실"이라며 “안정적인 현금 흐름으로 MG손보 정상화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예보는 인수 의향을 밝힌 세 곳을 대상으로 최종 인수 제안서와 첨부 서류 등 심사를 거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방침이다.
여전히 남아있는 리스크, 참여자 인수참여 의도 물음표
다만 매각을 완주할 수 있을지 여부를 두고선 미지수다. 현재 보험사 매물들의 매각가 평균보다 낮은 2000억~3000억원 수준으로 인수하더라도 이후 경영정상화를 위해 쏟아부어야 하는 비용이 1조원 가량으로 추산되고 있어 인수자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MG손보는 고질적인 건전성 문제가 매번 발목을 잡아왔다. MG손보의 지금여력비율(K-ICS, 킥스)은 올해 1분기 기준 52.12%으로 업계 최하위 수준이다. 금융당국의 권고치(150%)에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다.
매각 중단 리스크도 여전한 변수다. MG손보 최대주주인 JC파트너스가 금융위원회와 법적 분쟁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JC가 금융위를 상대로 부실금융기관지정처분에 대한 취소 청구 소송을 진행 중인데, 오는 9월 항소심 결과에 따라 최악의 경우 매각이 중단될 가능성이 있다.
꾸준히 인수를 희망해 온 대상이 PEF인 점을 두고선 MG손보 안팎의 불안감이 남아있다. 앞선 매각에 두 PEF가 등판했을 때도 또 다시 매각 대상에 오를 수 있단 불안감과 인력감축 등에 대한 내부적인 불안감이 떠오르기도 했다. 정치권에선 PEF 인수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언급된 바 있어 금감원이 예의주시할 것이란 시각도 제기됐다.
새로운 참여자인 메리츠화재가 매각 향배를 가를 수 있는 만큼 매수 희망가로 얼마를 제시했을지에도 관심이 모인다. 일각에선 메리츠화재의 등장이 불쏘시개 역할에 그칠 수 있단 시선도 있다. 금융권에서 메리츠화재의 인수 의중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외연 확장 시도로 보기엔 MG손보 시장점유율이 매우 낮아 인수해도 당장 실익이 없고, 투입 자금은 막대하다. 지주사 입장에서 포트폴리오 구축이 목적이면 생보사가 더 적합하다"며 “향후 전략구상 중 하나로 열어두고 시장 탐색에 나선 것이거나 유찰을 막기 위한 제안이 있었거나 하는 등 실제 인수가 목적이 아닐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이번 매각조차 유찰될 경우 수의계약으로 진행할 수 있단 우려가 떠오른 바 있다. 국가계약법상 두 차례 유찰 이후에는 수의계약이 가능하다. 그러나 메리츠화재가 입찰에 응함으로써 수의계약 우려는 한 풀 꺾인 상태다. MG손보 정리 방식 중 하나로 거론된 청산도 있지만 이는 보유한 장기계약 등 문제가 있어 예보가 P&A나 M&A 방식 등 통상적인 방식의 진행을 원할 것이란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