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원/달러 환율이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21포인트(0.09%) 내린 2,577.27에, 코스닥은 7.07포인트(0.97%) 내린 722.52에 장을 마감했다. 원/달러 환율 주간거래 종가는 전날보다 3.4원 오른 1,400원에 거래를 마쳤다.
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들이 원/달러 환율 급락에 따른 환차손을 피하기 위해 미국 주식을 대거 정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털에 따르면 국내 투자자들은 최근 일주일(2∼8일) 동안 미국 주식을 약 9800만달러(1400억원) 어치 순매도했다. 직전 주에도 약 4억달러(5700억원)의 미국 주식을 팔아 2주째 매도세를 유지한 것이다.
간접투자 상품인 해외주식형 펀드에서도 자금이 썰물처럼 빠져나갔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해외주식형 펀드는 최근 일주일간 설정액이 22조7372억원 감소했다.
국내주식형(-14조2820억원), 국내채권형(-4조7742억원), 해외채권형(-4조9685억원) 등 다른 유형 펀드들의 설정액도 감소했지만, 해외주식형의 감소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해외주식형 펀드 중 북미펀드의 감소분이 13조 988억 원으로 가장 컸다. 중국펀드도 4조3923억원이 빠져나갔다.
이같은 배경엔 원화 환율이 하락세(원화 강세)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미국 증시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달 9일 상호관세를 유예한 이후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 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지난달 저점에서 9일까지 14% 가까이 반등했다.
반면 원/달러 환율은 미·중 관세 협상 타결 기대감에 따른 아시아 통화 강세 등에 영향을 받으며 1300원대로 떨어졌다. 이날 새벽 2시 원/달러 환율은 달러당 1398.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주가가 올라도 그보다 큰 폭으로 환율이 떨어지면 손실을 보기 때문에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 매도는 달러 약세가 지속되며 원/달러 환율이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시장 불확실성이 커지자 대기성 자금 피신처인 MMF로의 자금 쏠림은 두드러졌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MMF 설정액은 지난 8일 224조2044억원을 기록하며 다시 한번 최고 기록을 썼다. 직전 최고치는 지난달 16일 기록한 224조946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