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수발전은 탄소중립 목표와 에너지안보에 기여한다는 명분을 가진 발전원으로 주민수용성 확대에 큰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 시급한 과제는 양수발전이 전력계통 안정화에 기여하는 부분에 대한 정산을 현실화 해 경제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김진수 한양대학교 교수는 2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양수발전 세미나에서 '양수발전 친환경성과 안전성이 주민수용성을 높인다'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김 교수는 “양수발전은 건설 단계와 건설 후 연계 사업으로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며 “즉, 지역사회에 사회적 편익을 공유할 수 있으며 공공 사업인 만큼 주민들의 인식과 이해 측면에서도 유리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해외 주요국들에서도 양수발전은 주요한 에너지저장장치(ESS)로 평가받고 있다. 영국의 경우 양수발전의 주민수용성을 조사한 결과 대규모 에너지저장장치 중에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김 교수는 “탄소중립이 실현되려면 에너지안보와 함께 전력 시스템의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며 “특히 경제성이 확보된 유연성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 양수발전이 주목받는 이유"라고 말했다.
그는 “세계적으로 에너지시스템이 바뀌고 탄소중립 시대가 되면서 주민들의 에너지원 설치의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 여부가 중요해지고 있다"며 “이런 차원에서 지역사회의 관광자원화, 수자원 확보, 고용창출, 삶의 질 차원의 휴양가치, 홍수예방과 같은 편익을 갖춘 에너지원은 사실상 양수발전이 유일하다"고 덧붙였다.
미국 연구에 따르면 양수발전의 에너지저장장치로서의 경제성은 리튬이온전지나 수소, 납축전지 보다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김 교수는 이같은 양수발전의 편익을 정량화, 수치화하는 게 시급한 과제라고 분석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주로 공공기업이 양수발전사업을 운영한다. 공공기관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해야 하는데 기본적으로 예타는 사회적 차원의 비용편익 분석이 고려돼야 한다"며 “문제는 이런 편익을 화폐가치로 환산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앞으로 양수발전 확대를 위해서는 이런 부분을 정량화하는 게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양수발전은 주민수용성보다 재생에너지 급증에 따른 계통 불안정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에 대한 정산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재생에너지 확대로 양수발전의 기동정지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양수발전의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전기가 저렴한 밤에 물을 끌어올리고 비싼 낮 시간에 그 물을 활용한 발전을 해야 한다"며 “현재는 경제성 극대화가 아닌 계통안정을 위한 운전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양수발전이 계통 안정에 기여하는 부분에 대한 보조서비스 정산이 정상화 돼야 한다. 올해 안으로 규칙개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이럴 경우 전기요금 상승이 따라오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고민이 많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교수는 “이런 부분을 해소할 수 있다면 주민수용성 확보에서 장점이 있는 만큼 한수원과 발전공기업은 물론 다른 사업자들도 양수발전 사업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