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픽사베이
지배 구조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과거처럼 20%의 지분율로도 이사회를 완전히 통제하던 시대가 저물어가는 모습이다. 고려아연에서 발생한 경영권 갈등은 한국 기업 지배구조에 새로운 전환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2025년 정기 주주총회에서는 소수주주의 권익을 보호하는 '집중투표제'가 핵심 화두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8일 얼라인파트너스는 상장사 코웨이에 집중투표제 도입에 관한 정관 변경 안건에 관한 주주제안을 했다.
집중투표제란 이사진 선출 과정에서 주주들에게 선출 예정인 이사 수에 해당하는 투표권을 주고, 이를 특정 후보에게 집중해서 행사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소액주주들도 자신들이 원하는 이사를 선임할 기회를 얻게 되어 경영 참여권이 강화된다.
얼라인파트너스는 “집중투표제는 소수주주 보호와 경영 투명성 강화를 위해 국내외 기관투자자 및 의결권 자문기관이 권고하는 제도"라면서 “오히려 넷마블은 현재 25%의 지분만으로 이사회를 장악하고 있는데, 집중투표제 도입은 이러한 독점을 견제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액트'의 20대 기업에 보내는 메시지
지난 9일 소액주주 플랫폼 '액트'는 얼라인파트너스 보다 더욱 적극적이다. 액트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HMM 등 20개 종목에 집중투표제를 권유하는 주주서한을 발송했다.
집중투표제는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지배주주의 전횡과 방만한 경영이 경제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자생적 노력의 일환으로 도입됐다. 소액주주의 권리를 보호하고 소액주주가 지배주주에 대한 견제 세력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제도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재계를 중심으로 대기업들이 이 제도를 환영하지 않는 분위기를 만들자 실제로는 도입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의 결과를 낳았다. 상법에 도입됐으나, 기업들이 정관에 반영해야 한다는 단서가 달렸기 때문이다. 즉, 원치 않는 기업들은 적용하지 않아도 됐다.
재계가 집중투표제 도입을 강력히 반대한 배경에는 지배구조가 흔들릴 수 있다는 불안감과 외부 인사의 이사회 진입을 차단하려는 의도가 자리잡고 있었다. 이처럼 재계가 사활을 걸고 저지하려 했다는 점은 오히려 이 제도가 얼마나 선진적인 기업 지배구조 개선책인지를 반증한다.
액트는 “현재 대기업 이사회는 대주주 중심으로 운영된다"면서 “하지만 집중투표제가 도입되면, 개인주주들도 이사 선임을 통해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