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연가스 공급배관.
올해 전 세계 천연가스 수요가 전년 대비 약 1.9%(800억입방미터(㎥))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아·태지역의 산업 및 에너지 부문 수요 증가가 주된 성장 동인이 될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에 따라 발전부문 천연가스 수요 증가세는 둔화되고, 천연가스 가격 상승에 따라 전체적인 수요 확대를 억제할 것이란 예상이 이어졌다.
서정규 가현회계법인 연구위원이 분석한 'IEA(국제에너지기구)의 세계 천연가스 수요 전망(잠정)'에 따르면 올해는 신규 액화 프로젝트 가동에 따른 수요 회복이 상류 부문 활동을 촉진해 글로벌 가스시장 공급 성장률이 약 5%(260억㎥)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액화천연가스(LNG) 신규 공급 증가(250억㎥)에도 불구하고 연초부터 시작된 러시아산 PNG(파이프라인가스) 공급 감소, 저장수요 증가 등으로 인한 수급불안 및 그에 따른 가격 상승 등은 가스수요 성장을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올해 북미지역 가스 수요는 2024년 수준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상업용을 포함한 주거용 소비는 평균적인 기온을 전제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로 발전용 수요는 감소할 것이란 예측이다.
중남미 지역의 경우 올해 산업용 가스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보이지만, 약한 라니냐 현상으로 인해 강우량이 증가하고 기온이 온화해짐에 따라 전체 가스 수요는 0.9%(14억㎥)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천연가스 소비를 주도하고 있는 신흥 아시아의 올해 가스 수요는 발전 및 산업 부문을 중심으로 2024년에 비해 약 2.5%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중국과 인도 등이 천연가스 수요 성장을 주도할 것이란 전망이다.
중국의 경우 올해 산업 수요 둔화가 지속되면서 전체 수요 증가율이 7%로 낮아질 가능성이 제시됐다. 작년 중국의 가스 수요는 경제성장 둔화에도 불구하고 약 8% 증가한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가스가 중국의 에너지 믹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는 분석이다.
또한, 중국은 LNG 수입 외에 자국 내 생산과 러시아산 PNG(파이프라인가스) 수입 증대로 인해 가스소비 증가에 따른 정부 차원의 대응책이 나올 것이란 분석이 이어졌다.
올해 유럽의 천연가스 수요는 작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됐다. 재생에너지 발전 확대에 따라 발전용 가스 소비는 10% 감소할 것으로 보이나, 도시가스용 및 산업용 가스 소비는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평균적인 겨울 날씨를 가정할 때 주택 및 상업용 수요는 증가하고, 산업용 수요는 가격 상승으로 회복세가 지연되면서 소폭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제시됐다.
작년의 경우 중국, 인도 등을 포함한 아태 지역 천연가스 소비 증가율은 전년 대비 약 5.5%에 이르며 전 세계 수요 증가분의 4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에도 아시아 지역 중에서도 특히 중국의 천연가스 소비가 두드러졌다. 경제활동 둔화에 따라 산업용 수요는 감소했지만, 수송 및 발전용 수요 증가율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지역 천연가스 소비 증가의 주요 요인은 경제성장, 여름철 폭염, 상반기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하락 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수력 및 원자력 발전 증가, 중국의 산업 생산활동 둔화, LNG 가격 상승 등으로 인해 작년 하반기 들어 아시아 지역 천연가스 수요 증가율은 4%로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올해는 유럽의 LNG 확보 필요성과 미국과 유럽의 낮은 가스 저장수준 등으로 글로벌 가스가격이 상승될 것으로 전망됐다.
서정규 연구원은 “전세계 LNG 공급 증가로 단기적으로 가스공급 불안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다만 러시아 PNG 공급이 장기간 중단될 경우, LNG 가격 상승과 함께 일부 국가에서 가스 공급 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