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시민단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지난 2~5일 20~60대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중고차 시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5일 밝혔다. 이 단체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에 조사를 의뢰했다.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는 ±3.1% 포인트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9.9%는 중고차시장에 대해 혼탁하고 낙후된 시장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중고차 매매시장이 불투명·낙후된 이유에 대해서는 54.4%가 ‘허위·미끼 매물’ 때문이라고 답했다. ‘가격산정 불신’(47.3%), ‘주행거리 조작, 사고이력 조작, 비정품 사용 등에 따른 피해’(41.3%), ‘판매 이후 피해보상 및 A/S에 대한 불안’(15.2%) 등 의견도 있었다.
응답자들의 42.9%는 ‘중고차 매매업에 대기업 진출을 제한해 더 보호해야 한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반대(매우 반대 21.9%, 반대 21.0%)한다고 응답했다. 반대로 28.5%는 동의(매우 동의 12.2%, 동의 16.3%)했다.
중고차 중고차 판매업 보호를 반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62.3%가 ‘소비자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발생시 구제받기도 어려워서’라고 답했다. 뒤를 이어 ‘이미 6년간 보호했으며, 기존 중고차 매매업체의 자정 노력을 신뢰할 수 없어서’가 61.6%, ‘중고차 가격 및 중고차시장 규모 고려시 더 이상 소상공인들만의 영역이라고 볼 수 없어서’가 29.3%, ‘중고차 매매업체가 영세하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에’가 11.0% 순이었다.
완성차 기업의 중고차시장 진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6.1%가 긍정적(매우 긍정적 32.9%, 긍정적 23.2%)이라고 응답했다. 반면 16.3%는 부정적(매우 부정적 5.0%, 부정적 11.3%)이라고 응답했다.
완성차 업체의 중고차 시장 진입에 찬성하는 이들은 ‘혼탁하고 낙후된 중고차시장을 투명하고 선진화시킬 수 있을 것 같아서’(56.3%)를 그 이유로 꼽았다. 국내 완성차 기업의 인증중고차판매와 관련해서는 68.6%가 긍정적(매우 긍정적 42.6%, 긍정적 26.0%)이라고 응답했다.
국내 완성차 업체의 인증중고차 판매를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에 대해서는 47.4%가 ‘국산차 소유자도 제 값 받고 중고차를 팔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다음으로는 ‘완성차 제조사가 직접 인증·판매한 중고차를 더욱 신뢰할 수 있어서’(43.5%), ‘소비자 선택권이 확대되기 때문’(40.5%), ‘수입차 브랜드만 인증중고차 사업을 하는 것은 불공평하므로’(30.2%) 순이었다.
소비자주권 관계자는 "국내 완성차 업체들도 국내 수입차업차와 마찬기지로 ‘인증 중고차’를 판매할 수 있도록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