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현 정부 온실가스 감축 목표로는 2050년 탄소중립 불가능"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5.13 16:05
clip20210513144406

▲기후솔루션 로고.


[에너지경제신문 이원희 기자] 현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로는 2050년 탄소중립이 불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3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녹색성장 대학원 엄지용 교수팀과 기후솔루션은 ‘한국형통합평가모형’을 공개하고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 보고서를 발표했다. 기후솔루션은 해당 모형은 에너지와 토지 이용, 물, 기후, 사회 경제 등 국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6개 부문의 상호 작용을 고려한 통합 모형이라고 설명했다.

clip20210513143222

▲시나리오별 국내 온실가스 배출 수준. 기후솔루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정책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달성해도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은 불가능하다고 나타났다. 현 정책을 유지하면 2050년에는 지금보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30% 감축돼 5억t 수준으로 정부의 NDC로는 60% 감축으로 3억t으로 예상됐다.

전력 부문으로 시나리오를 분석하면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는 현 정책을 지속하는 시나리오 대비 전력생산량이 80% 더 필요하다. 이는 탄소중립을 위해 건물 및 수송 부문의 급속한 전기화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전력 수요 증가를 대비해 재생에너지의발전량은 지난해 대비 2030년까지 7배와 2050년까지 20배 증가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봤다.

KAIST 엄지용 교수팀과 기후솔루션은 "이번 연구를 통해 현재 정책이나 NDC를 유지한다면 2050 탄소중립 달성에 실패하는 것으로 명백히 드러났다"며, "2030년 NDC 강화는 물론 배출권거래제나 수송 부문에서의 배출 규제와 탄소세 도입 등 다양한 정책 수단을 조속히 도입해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급속한 전기화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와 탈탄소화를 동시에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재생에너지를 대폭 확대하고 석탄발전을 조기 퇴출하는 게 필요하다"라고 제시했다.

한편 보고서 발간과 함께 국회 그린뉴딜연구회 주최로 ‘한국형 통합평가모형 기반의 2050 탄소중립 달성 시나리오 토론회’가 14일 2시에 개최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