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
초콜릿 주 원료인 코코아 가격이 올들어 고공행진하자 초콜릿 제품들이 다음달부터 본격 인상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국내 1위 초콜릿 업체 롯데웰푸드가 다음 달 1일 가나초콜릿 등 17종 제품 가격을 평균 12% 인상한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연합뉴스를 통해 “계획대로 전 유통 채널에서 제품 17종 가격을 평균 12% 인상한다"면서 “코코아 시세가 3배 이상 올라 워낙 원가 압박이 심해 초콜릿이 들어간 제품 가격을 올리는 것으로 비스킷이나 다른 제품은 올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대표 초콜릿 제품인 가나초콜릿 권장소비자가는 1400원으로 200원 오르고 빼빼로는 1800원으로 100원 인상된다.
롯데웰푸드는 그동안 초콜릿이 들어간 제품에서 심한 원가 압박을 받아왔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에 당초 이달 1일부터 가격을 올리기로 했다가 물가 안정을 위해 협조해달라는 정부 요청에 인상 시기를 한 달 늦췄다.
코코아 선물 가격은 지난 10년 넘게 t(톤)당 2000∼3000달러의 시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그러나 주산지 서아프리카 작황 부진 때문에 지난해부터 가격이 오르기 시작해 올해 초부터 롤러코스터를 탄 듯 치솟으면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한 달 전에는 뉴욕 시장에서 거래되는 코코아 선물 가격이 t당 1만2000달러에 육박했다가 최근 다소 내려가 지난 23일 현재 8109달러를 보였다. 그럼에도 올해 연초와 비교하면 두배 수준이다.
전 세계 코코아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서아프리카 국가인 가나와 코트디부아르는 만성적인 투자 부족에 기후변화, 나무 노령화로 작황이 부진했는데 엘니뇨 등 기상 이변과 카카오 병해로 지난해부터 코코아 생산량이 급감했다.
국제코코아기구(ICCO)는 2023∼2024 시즌 코코아 생산이 전년보다 11% 감소해 공급이 37만4000t 부족할 것으로 추산했다. 2022∼2023 시즌 공급 부족량은 7만4000t이었다.
병해에 걸린 코코아나무를 베어내고 다시 새 나무를 심어 수확하기까지는 몇 년이 걸리기 때문에 수급 불안은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글로벌 초콜릿 업체들은 초콜릿 제품 용량을 줄이거나 가격을 올리는 식으로 코코아 가격 급등에 대응하고 있다.
최근 실적을 발표한 몬델레즈는 올해 1분기 제품 가격을 약 6% 올렸고 허쉬는 5%가량 인상했다고 밝혔다. 이들 업체는 코코아 가격이 높게 유지되면 제품 가격을 추가로 올릴 수 있다는 입장이다.